•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4.24 17:32:56
  • 최종수정2023.04.24 17:32:55

윤승희

단양군보건소 주무관

경찰서 민원실의 좁다란 방에서 그녀와 마주 앉았다. 한껏 움츠린 채 미동도 하지 않는 그녀는 길 잃은 아이처럼 불안한 듯 떨고 있었다.

겨울임에도 그녀는 반팔 티와 반바지 차림에 담요 한 장 걸치고 있을 뿐이다. 온몸은 깡말라서 금방이라도 부서질 것같이 위태로워 보인다.

그녀와 눈빛이 마주쳐지지 않는다. 그녀의 시선은 삭막한 그 공간의 어딘가를 응시할 뿐이다.

나는 차분히 말을 걸어본다. "000님, 괜찮으세요? 잠시 얘기 좀 할 수 있을까요? 지금 기분은 좀 어때요?"

며칠 전 자살 시도 이후 병원에 입원했다 어제 퇴원해 귀가 후 사라졌단 신고를 야간에 받고 다음 날 경찰의 소재 파악으로 임시 보호 조치 중이었다.

단양엔 정신의료기관이 없어 야간이나 주말에 경찰을 통해 상담 요청이나 출동 요청을 종종 받는다.

"우울증으로 자살 시도 이후 입원하셨는데 또 자살할 생각이나 계획이 있나요?"

"네, 죽으려고요..."

한번 자살 시도한 사람은 다시 할 확률이 높아 자해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돼 경찰과 협의 후 응급입원을 진행하고 행정입원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우울증은 생각의 내용, 사고 과정,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 기능이 지속해서 저하돼 일상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 같으면 쉽게 처리할 수 있던 일들이 매우 큰 짐으로 느껴져서 평소 해오던 직업을 포기하기도 한다.

우울 증상이 심해지면 자살 시도를 하게 되는 것이 큰 문제다. 자살자 중 70~80%는 우울증 때문에 자살 시도를 한다.

한국은 우울증 유병률 1위로, 한국 국민의 10명 중 4명이 우울증 또는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OECD 우울증 유병률 통계를 보면 1위 한국 36.8%로 가장 높았다. 스웨덴(30.0%)·멕시코(27.6%)·호주(27.6%)·미국(23.5%) 등을 크게 앞섰다. (출처 의협신문)

단양군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의하면 2020년 스트레스 인지율이 17.2에서 2021년 22.1로 증가하였고 우울감 경험률은 2020년 4.7에서 7.7로 증가했다.

그리고 단양군 2021년 자살률은 49.0명, 충북 자치구 중 7위로 서울특별시보다 0.6배 낮다.

최근 5년간 (2017년~2021년) 남자 자살률이 가장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20년부터 80세 이상이 가장 높았다.

우울증은 조기에 치료하면 환자 80~90%가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아 우울증을 앓고 있어도 전문적인 치료나 도움을 찾지 않는 환자 비율이 전체의 65~75%나 된다.

우울증 환자의 약 70%가 자살을 생각하고 10~15%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하는 만큼 방치하면 개인의 건강과 목숨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우울증 환자들은 적극적으로 전문가의 도움이나 치료가 필요하다.

단양군 보건소에서는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역 내 정신건강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힘쓰고 있다.

우울증이나 자살, 기타 정신질환 관련 상담이 가능하며 정신건강 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진료 상담, 간호학과 교수 상담) 상담실을 한 달에 2회 운영해 필요시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야간에는 1577-0199, 1393으로 전화하면 상담받을 수 있다.

주변의 지인이 이런 고민이 있다면 "네가 마음을 약하게 먹어서 그래", "너 그다지 슬퍼 보이지 않던데", "다들 한 번쯤 겪는 거잖아"하는 편견 섞인 도움 되지 않는 조언은 하지 않길 부탁드린다.

마음의 감기도 감기약을 처방받아야 온전히 나을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진정한 도움의 손길을 내주길 당부드린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