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창단 10주년 기념
오는 30일 11시 온라인 합동공연 공개
[충북일보] 제천과 청주를 오가던 시외버스가 하루에 단 1대만 남기고 모두 사라져 시민들이 교통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의 감차승인을 두고 해당 시·군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충북도가 도내 해당 시·군과 협의도 없이 코로나19 이후 운행 적자를 이유로 운수업체의 시외버스 운행 감차를 승인하며 원성을 사고 있다. 충북도는 관련법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상급 기관의 일방적인 '갑질'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도는 코로나19 이후 청주~충주~제천을 오가는 시외버스를 줄이며 충주시·제천시와 협의는 고사하고 통보조차도 하지 않았다. 도가 1시간30분 소요되는 청주~제천 무정차 노선을 지난 7월부터 모두 없애고 10여회가 넘던 제천~충주~청주 직행버스 노선을 하루 1대로 줄이는 휴업 또는 감회 신청을 승인하면서도 이를 제천시에 알리지 않았던 것. 같은 시기 청주~충주 시외버스 노선도 하루 50회에서 21회로 29회 줄였지만 충주시와의 협의도 역시 이뤄지지 않았다. 운수업체가 시외버스 노선 운행 일정 등을 변경하려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도의 사전 승인을 얻어야 한다. 승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옥천군 일부 부서장이 옥천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 임하면서 사전에 충분한 준비가 부족해 감사장에서 "공부 좀 하라"고 의회로부터 질타를 집중 받았다. 옥천군의회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는 옥천군 재무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지난 24일 벌였다. 이 과정에서 군 의원이 질문하는 내용에 대해 재무과장이 숙지와 이해가 부족해서인지 답변을 제대로 못하자 추복성 위원장이 곽경훈 과장을 향해 "답답하다, 공부 좀 하라"고 했다. 곽봉호 의원은 군 청사건립기금과 청사이전계획을 물었으나 곽 과장은 그 때마다 속 시원한 답변을 못했고 기금조성과정, 청사완성시기 등 몇 차례 질문은 오갔으며 팀장이 부연설명을 하는 등 동문서답이 이루어지자 "아무것도 아닌데 시간을 끌고 있다"고 했다. 이를 지켜보던 추 위원장은 "갑론을박"이라며 투융자심사 등 설명을 하면서 "개념도 모르고 답변하느냐"고 꼬집었다. 끝나나 싶었는데 곽 의원이 다시 청사기금은 어떤 방법으로 금고에 맡기고 발생하는 이자는 기금에 어떻게 잡히느냐고 묻자 이 역시 과장의 답변은 오락가락하자 추 위원장과 이용수 의원이 과장과 직원들에게 차용증얘기를 하며 "빌려준청사기금은 이자와 함께 다시 청사기금으로 넘어오
[충북일보] "궁긍적으로는 국민들의 편익이 향상됩니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충북지역본부가 추진중인 지적재조사 사업은 '기관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토지를 이용하는 주체, 즉 국민·주민들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의 14.8%는 토지의 현황과 지적이 다른 불부합지다. 이를 최신기술로 정확히 측량해 바로잡는 게 지적재조사다. 이익기 충북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장은 지적재조사가 '땅의 가치 상승'을 이끈다고 설명한다. 이 단장은 "토지 경계를 바로잡게 되면 진입로가 없던 토지에도 이웃 간 경계 조정을 통해 도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물도 증축할 수 있게 돼 지가가 상승할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적재조사를 통해 소유권 문제가 정리되면 도시재생 뉴딜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적재조사에 대한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우선 '비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영향이 크다. 지적재조사는 주민설명회와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거쳐 진행된다.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만큼 측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이 단장은 "사업진행과 측량 등기정리 등에 있어 토지소유자가 부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