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7.13 15:23:58
  • 최종수정2017.07.13 18:01:48
[충북일보] 충북행정이 님비(NIMBY)에 가로막혀 끝없이 표류하고 있다. 쓰레기매립장 조성 사업과 관련해 지역 곳곳에서 찬반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청주시 제2쓰레기매립장 조성 사업은 수개월째 답보 상태다. 주민감사와 경찰 수사 등으로 한 발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제천 제3산업단지도 매립장 조성을 놓고 지역사회가 찬반으로 갈렸다. 괴산 쓰레기처리장 조성사업도 지역의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님비는 공익보단 소수 집단의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적인 사회현상을 표현한다. 집단 이기주의를 비난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하지만 공익만큼 개인의 권리도 중요해졌다. 그러다 보니 이에 따른 사회적 갈등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가 발달할수록 각종 갈등도 늘어나게 마련이다. 그리고 갈등은 언제나 님비와 권리 사이에서 생긴다. 제도의 보완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 있다. 물론 '공공 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이 대통령령으로 제정돼 있다. 하지만 법적 강제력이 없다는 게 문제다.

사람이든 사업이든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게 마련이다. 명(明)이 있으면 암(暗)이 있는 게 당연하다. 그게 세상에 있는 이치다. 사람이라고, 사업이라고 다를 리 없다. 지방자치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지나친 자기중심적 사고(思考)는 화를 부른다. 때론 지방행정 수행을 가로막기도 한다. 원활한 지방자치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그중 하나가 님비다. 다른 하나로 핌피(PIMFY)를 꼽을 수 있다.

내가 사는 지역에 득 되는 것만 주장해선 곤란하다. 넓게 보면 다른 지역이나 도시 역시 내가 사는 곳의 일부다. 내 집 앞마당을 쓸면 지구가 깨끗해지는 이치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세상을 보고 나를 봐야 한다.

이기주의를 버리고 이웃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는 모두 공동체의 일원이다. 그 공동체가 유지되고 존속해야 우리 역시 유지되고 존속된다. 그런 인간 존재의 이유만 생각하면 님비나 핌피는 극복할 수 있다.

쓰레기 처리시설이 지역사회에 갈등의 불씨가 된 지는 오래다. 님비의 발현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지도 오래다. 철저한 사전 검토와 공론화 작업이 헛구호가 된지도 오래다.

님비는 공공의 이익은 되지만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는 이익이 되지 않아 반대하는 이기적인 행동을 뜻 한다. 핌피는 'Please in my front yard'의 약자다. 이 역시 수익성 있는 사업을 내 지역에 유치하겠다는 일종의 지역 이기주의 현상이다.

지방자치는 '한 나라의 영토를 몇 개의 자치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놓고 그 지역에 관한 행정은 원칙적으로 중앙정부의 관여 없이 법인격이 부여된 지방자치단체에 맡겨서 스스로의 능력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진정한 지방자치의 수행을 위해 적정한 합의는 필수다. 님비든 핌피든 지나쳐선 안 된다. 인간은 결코 혼자서는 살 수 없다. 타인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 공동체는 유지될 수 없다. 님비나 핌피도 마찬가지다.

사회적 갈등으로 소요되는 비용은 한 해에 24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제 옳고 그름으로 편을 가르고 싸우기보단, 다양해지는 갈등을 어떻게 줄여나갈지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너무 잦은 갈등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한다. 시간의 허비를 부추긴다. 님비가 죽어야 지역이 산다. 사생결단의 핌피 역시 마찬가지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