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6.14 16:06:30
  • 최종수정2017.06.14 16:06:30

김용진

농협충북지역본부 차장

쌀은 우리민족의 주식이며, 에너지원이다.

하얀 쌀밥 위에 시원한 김치 한 조각 올려 먹고, 된장찌개를 한 스푼 먹으면 더할 나위 없이 건강하고 훌륭한 한 끼 식사가 아닌가.

그런데 요즘 우리민족의 주식인 쌀이 위험하다. 아니 걱정스럽다. 국민들이 쌀을 잘 먹지 않기 때문이다.

쌀 소비량은 2006년 78.8㎏에서 2016년 61.9㎏으로 급감하였고, 쌀값 또한 연평균 쌀값이 가장 높았던 2013년 80㎏ 기준 17만5천90원에서 2017년 5월 현재 12만7천344원으로 27% 떨어진 상태다.

생산액 기준으로도 우리 민족 5천년 역사 이래 처음으로 쌀이 주식에서 돼지고기에 밀려 2위가 됐고, 조만간 한우고기에도 2위 자리를 추월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쌀 소비는 계속 하락하는 반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돼지고기의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2006년 18.1㎏에서 2016년 23.3㎏으로 증가한 결과다.

이런 상황에서 삼시세끼 쌀밥을 꼬박 꼬박 챙겨먹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인류가 탄생한 역사를 30일로 환산하면, 1990년대 이후의 정보화시대는 약 5초'라는 어느 저서의 내용을 보면, 급변하는 시대의 현대인들이 밥을 항상 챙겨 먹을 시간이 부족할 듯도 싶다.

한 끼를 해결 하고자 할 때는 쌀밥대신 라면 등 인스턴트식품을 많이 찾는 것은 이제 당연한 광경이 돼 버렸다.

하지만, 잘못된 오해로 인해 우리의 쌀이 식탁에서 소외당하는 것은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바로 쌀밥을 먹으면 살이 찐다는 오해다.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 살이 찌는 건 밥과 같이 먹는 염분 많은 반찬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이며, 최근 비만인구가 늘어난 것도 쌀밥을 비롯한 채소중심의 전통 식사대신 인스턴트식품의 과잉섭취와 잦은 군것질을 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아침밥을 먹지 않는 사람이 먹는 사람보다 뚱뚱해질 가능성이 30~50% 높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기도 하다.

쌀밥을 먹으면 당뇨 등 성인병에 좋지 않다는 말도 사실이 아니다.

쌀 전분은 밀 전분에 비해 소화흡수가 느려 급격한 혈당 상승을 방지하고, 현미는 쌀겨와 쌀눈의 영양소가 무척 풍부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아침밥은 그 어떤 보약보다도 우리 몸에 좋은 점이 참 많다.

뇌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만들어 주어 아침밥을 거르지 않는 사람이 더욱 능률적으로 일을 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는 학업 성취도를 크게 향상시켜 준다는 실질적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아침밥을 꾸준히 먹으면 장운동이 활발해져서 변비개선 및 대장암 예방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고 하니, 중년남성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분들에게는 이보다 좋은 건강법이 어디 있겠는가.

비록 입맛이 없고 시간이 빠듯해서 아침밥 먹을 시간이 없더라도 행복하고 활기찬 인생을 위해 아침 밥 만큼은 꼭! 꼭! 드셨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을 담아 본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