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4.30 15:02:33
  • 최종수정2017.04.30 15:02:40

이재준

전 충청일보 편집국장·칼럼니스트

옥천군 이원면 원동리 영동으로 가는 국도변에 묘소 한 기가 있다. 앞에는 그리 크지 않은 고비석이 하나 세워져 있는데 '유모헌비지묘(乳母獻菲之墓)'라고 각자되어 있다. 유모 헌비는 누구이고 어떤 내력을 담고 있을까.

비석을 확인하니 더 많은 각자가 보인다. '贈 領議政 睡翁 宋公...' 영의정을 증직 받은 수옹 송공이다. 이 비석은 조선 성리학의 대가 우암송시열이 제주도로 귀양 가기 전, 부친 수옹(睡翁) 송갑조를 키운 유모 노비의 은혜를 잊지 않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송갑조는 젖먹이 시절 어머니를 잃었다. 마침 헌비도 아이를 출산 했는데 그녀의 젖을 먹고 자라게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고부터 아이는 유모가 너무 힘들게 농사일을 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신은 좋은 옷을 입고 있었으나 유모는 다 헤진 옷을 걸치고 있었다. 소년은 자라면서 그녀가 집안의 노비인 것을 알게 된다. 소년은 그것이 가슴이 아팠다. 소년은 장성하여 헌비를 노적(奴籍)에서 풀어주고 따로 살게 했다. 자신을 키워준 유모에 대한 보은이었다.

그리고 간혹 헌비의 집을 찾았다. 헌비가 차려주는 음식이 먹고 싶었던 것이다. 헌비는 찾아 온 송공에게 따뜻한 밥을 지어 주었다. 가난한 집에서 먹는 음식이 얼마나 맛이 있었을까. 그런데도 송공은 '가장 맛있게 먹었다'고 하며 헌비를 기쁘게 했다. 송공은 평생 자신을 키워준 유모의 은혜를 잊지 않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시대 어머니들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들이 많다. 의술이 발달하지 못해 출산 중에 많이 목숨을 잃은 것이다. 송공의 어머니도 시집올 때부터 몸이 쇠약했다고 한다.

조선 성리학의 대가인 율곡(栗谷) 이이, 백사(白沙) 이항복, 관수정(觀水亭) 송흠도 소년 시절 어머니를 잃었다. 율곡은 19세, 백사는 16세, 송흠도 소년시절 모친이 세상을 떠났다. 이들은 스승과 제자 사이로 모친에 대한 그리움을 함께 공유했던 셈이다.

율곡은 어린 시절 어머니 사임당의 철저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랐다. 사임당은 남편이 이루지 못한 학문의 대업을 아들에게 기대했다. 백사도 9세에 부친을 잃고 역시 편모슬하에서 자랐다. 어머니 최씨는 비뚤어지기 쉬운 아들을 아비 없는 호래자식이란 소리를 듣지 않도록 바르게 키웠다.

이들이 모두 크게 성공한 이유는 바로 생전에 못다 한 효를 실천하기 위해서 였을까. 세 분은 모두 소년 시절에 과거에 급제하는 영광을 차지했다. 어머니의 한을 풀어드리기 위해 밤낮으로 학문에 정진한 때문이었는지 모른다.

어린 백사는 성균관에서 공부하면서도 항상 고생만 하고 떠난 어머니를 생각하며 눈물을 흘렸다. 어머니 상을 치른 후 2년, 동료인 신생원(申生員)에게 모친을 그리는 심경을 편지로 보냈다. 어머니를 졸지에 잃어 물가에 버려진 것 같은 외로움 탄식한 것이다.

효란 무엇일까. 효경에서는 효를 '덕의 근본'으로 삼고 있다. '하늘이 정한 불변의 기준이며 땅의 떳떳함'이라고 가르쳤다. 서경에서는 '아비는 친하고(父親), 어미는 자애롭고(母慈), 자식은 효도(子孝), 형은 우애(兄友), 아우는 공순(弟恭) 해야 한다'고 정의한다.

오늘날은 이러 정의가 퇴색하고 가정의 질서마저 깨지고 있다. 이번 대선 후보들 가운데는 한국의 전통윤리를 회복하는 정책을 펴겠다는 이들이 없다. 혹 효를 낡은 생각이자 구폐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자신에게 젖을 물려 키워준 부모는 생명의 은인이다. 송공의 애틋한 유모 헌비에 대한 보은고사나, 생전 어머니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피눈물 나는 노력으로 보답한 율곡, 백사의 효 얘기를 들어보면 왠지 눈시울이 붉어진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