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과 '소'한국인은 각자마다의 심성에 투영된 동물 이미지를 갖고 있다. 인면수심(人面獸心)이란 말처럼 인간의 본성에는 동물적인 근성이 있다. 다만 12띠 동물 중 어느 동물의 수심(獸心)을 가졌는가가 다를 뿐이다.'띠'란 동물의 환대(環帶)를 의미하는데 이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이어지는 날(日)이나 달(月)·연(年)의 고리를 의미한다.올해는 축(丑)에 해당하는 소의 해다. 예부터 소는 우리나라 농경사회에 없어서 안 될 가축이었다. 농사를 지을 때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 노동력이었고 일상생활에서는 운송수단, 또는 목돈을 마련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구석기시대의 유물이라고 보아지는 알타미라 동굴의 소의 벽화는 인류가 소와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단적인 증거가 된다.'삼국사기'에는 지증왕 3년(502)에 처음 우경을 시작한 것으로 기록돼 있으나 우경은 이보다 오래 전부터 시작돼 2천여년 이상 우리민족과 한반도에서 생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소는 노동력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구실을 할 뿐만 아니라 재산으로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짐승이긴 하나
집터의 한가운데에 있는 마당을 중정(中庭)이라고 한다. 즉 중정(中庭)은 집안의 건물과 건물사이에 있는 마당을 말한다. 인체에 비유해 본다면 임맥(任脈) 선상에서 앞가슴 좌우젖꼭지사이의 중간(흉부정중앙)이 단중이다. 이 단중의 바로 밑에 해당하는 부분이 바로 상평제5늑간(上平第5肋間)인 중정이다. 택지 내의 어느 곳에 있더라도 중정(中庭:중앙마당)이 크면 주거하는 주인이나 상속자가 단명하든가 아니면 모험사업을 기도하나 크게 실패를 초래하여 파산함은 물론 가족 중에서 폐병·신경병·광인 등이 배출되어 가명을 더럽히는 두려움이 있게 된다. 그 이치는 중앙마당이 철포풍로(鐵砲風爐)와 같이 집안의 기운(바람)을 끌어 모아 밖으로 뿜어내듯 하는 역할하게 된다. 즉 중앙마당이 택중(宅中)의 양기를 흡집(吸集)한 후에 집밖의 천공(空天)으로 불어서 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집안에 양기가 부족하게 되고 반면에 음기만 충만하게 되어서 여러 가지의 재앙과 불행이 겹치고 천지신명의 가호와 수호가 없는 집이 되어 어떤 누구로 바꾸어 살아도 점점 가운이 쇠퇴해서 자멸의 슬픔을 맛보게 되는 주택이라 할 것이다. 한편 중장(中藏)이란 궁중의 창고를 뜻하지만, 주택의 한가운데에 있는 창고
건물에는 주택용·상가용·업무용·공공용 등 다양한 용도가 있다. 전통적으로 주택의 대부분은 단독주택이 대세였으므로 여러 개의 집이 길게 연결되어 지어진 연립형태의 장가(長家)와 관련된 예는 그리 많지는 않았다. 여기서 장가(長家)는 오늘날의 단층의 연립주택과 같은 개념과 형태를 연상해서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예컨대 3호장가(三戶長家)라고 하면 홀수 칸(間)으로 3채의 집이 연결되어 지어진 집이고, 5호장가(五戶長家)라고 하면 홀수 칸(間)으로 5채의 집이 연결되어 지어진 집을 말한다. 그런데 3호장가(三戶長家)의 한 가운데의 중호(中戶)나 5호장가(五戶長家)의 맨 가운데의 중호(中戶)의 주택에 사는 거주자의 특징은 참으로 특이하다는 점에 관심이 간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홀수로 설계된 연립주택의 중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양상은 매우 대흉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택에 사는 거주자는 수많은 세월의 역사를 거쳐서 임상을 통해 밝혀 보았으나 발전한 사람이 거의 없다고 풍수비록의 기록들도 전하고 있다. 즉 홀수 칸(間)으로 지어진 연립형태의 장가(長家)의 한 가운데 집에서 사는 거주자에게는 아무리 노력을 해도 발전이 없음은 물론이고 가족들에
1개의 주택이나 집터의 중앙을 벽이나 담으로 막고서 2개의 주택으로 분할하여 2개의 집(軒)으로 하여 살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재해가 초래되고 2개의 집 모두가 빈궁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집터와 주택의 벽(壁)을 가로질러 뚫어서 1개의 주택으로 합하여 사는 경우에도 동론으로 당장에 재액과 실패를 초래하게 된다. 많은 경우를 임상 시험해 본 결과이므로 직접 관찰해 보면 증명될 수가 있을 것이다. 그 이치는 다음과 같다. 모든 집터와 주택(戶)에는 각각의 집터와 주택마다 각각의 오행신(五行神)이 자리(位)를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행신 들의 수와 위치를 마음대로 바꾸는 행위를 함은 불행을 자초하는 일이다. 예컨대 마음대로 출입구(出入口)를 바꾸고 함부로 창(窓)을 열거나 2개의 방(間)을 1개의 방으로 하고 또는 2개의 집터를 1개의 집터나 주택으로 개조하는 등의 행위는 몰상식의 극치라 할 것이다. 오체(五體)로 논하면 배(腹)를 자르고 수족(手足)을 빼고 신체를 끊고 절단하여 피(血)를 짜내고 섞듯 혈교(血絞)를 한다는 의미와 같기 때문이다. 이렇듯 집터와 주택을 법수에 맞지 않게 함부로 고치려 대하는 행위는 무면허의사가 칼을 들고 환자의 몸을 치료한답
◇우물이 주방(부뚜막)의 옆에 있으면 대흉황제택경(黃帝宅經)에 우물이 부뚜막의 옆에 있게 되면 허망하고 헛된 소모를 뜻하는 허모(虛耗)가 빈번해진다고 하고 있다. 오행 중에 '화(火)대(對)금(金)[火剋金]' '금(金)대(對)목(木)[金剋木]' '목(木)대(對 토(土)[木剋土]' '토(土)대(對)수(水)[土剋水]' '수(水)대(對)화(火)[水剋火]'는 상극의 관계다. 그러나 그 형태를 바꿔서 쓰이면(用)서 한편으로는 또한 덕(德)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첫째 화극금(火剋金)에서 비록 화(火)는 금(金)을 녹이고 삭(·)이지만, 반면에 금(金)을 반죽하듯 단련(鍛煉)하여 그릇과 같은 기물(器物)들을 만들어 내기에 이는 화극금(火剋金)의 덕(德)이라 할 것이다. 둘째 금극목(金剋木)에서 비록 금(金)은 목(木)을 상극하여 내려치지만, 반면에 목(木)을 썰고 밀듯 만삭(挽削)해서 쓸모가 있는 용재(用材)로 바꾸어 주므로 이것 또한 금극목(金剋木)의 덕(德)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목극토(木剋土)에서 비록 목(木)이 토(土)를 극한다고는 하지만, 나무(木)의 뿌리가 단단한 흙덩이(土)를 부수어주어 오히려 초목을 생육하는데 필요한 토양으로 만들기에 목극토(
황제택경(黃帝宅經)에 이르기를 청룡개안비(靑龍開眼備)라고 해 정동방의 창문은 청룡(靑龍)이 열린 눈을 구비하여 갖춤(具備)이라 했다. 그래서 주택에 창을 여는 곳으로는 정동방을 최대길상으로 한다. 다음으로는 동남간방인 진손사(辰巽巳)의 방위에 두는 창문도 양기를 활발히 받는 구조이기에 대길방으로 한다. 그리고 정남방에 두는 창문도 어떤 집이라도 남면(南面)하여 양기를 받아들이기가 쉽고 위생상으로도 가장 선(善)하여 길상으로 한다. 그러나 서남간방(未申坤)과 정서방 그리고 서북간방(戌乾亥)에서부터 정북방에 이르는 방위에 창문을 두는 것은 상대적으로 금하여 기피하고 있다. 그 이유는 서남간방인 미곤신(未申坤) 방위에 창문을 두게 되면 도적이 들어온다고 하여서 흔히 서남간방의 창문을 도둑창인 이봉창(泥棒窓)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동북간방인 축간인(丑艮寅) 방위의 창문은 종종 악마를 불러들여 초래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한편 주택에서 천장창인 천창(天窓)은 양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당한 구조로 꾸미여 두게 되면 가인(家人)이 발전의 기운을 얻게 되므로 길함이다. 그러나 주택의 정중앙에 천장창을 열게 될 경우에는 집안에 있는 양기가 하늘
겨울철에 기압골이 통과한 후 뒤따라 대륙으로부터 한랭하고 건조한 시베리아고기압이 우리나라방향으로 장출 할 때, 냉기(冷氣)의 중심이 만주와 백두산주변 상공에 위치하면서 수일간 우리나라는 전국이 한파(寒波)의 기습을 받게 되는데 이때 나타나는 한파의 특징은 한랭한 대륙고기압이 접근하면서 메마르고 건조한 한기가 강한 북서풍에 실려 우리나라로 밀려오는데 첫날은 대부분 바람이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낮아지지만 기온이 급작스럽게 하강하지는 않고, 아침에 나타난 온도가 그날의 최고기온이 될 만큼 시간이 흐를수록 온도가 오히려 하강하기 시작하다가 다음날부터 매서운 한파가 몰아치는데 이때부터 충남과 호남지방은 물론,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 서쪽이 바다와 접하고 있는 섬 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데, 이때 바람방향이 서풍으로 바뀌고 풍속이 강해지면 충북과 경기도 일부지방까지 눈이 내린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기타지방은 고기압의 영향으로 거의 쾌청한 날씨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대륙고기압이 장출하는 기간중 가장 추운 날은 첫날이 아니고 다음날(2일후) 과 그 다음날(3일후)이며, 4일째 되는 날부터 대륙고기압이 쇄약하고 변질되어 이동성고기압의 형태로 바뀌면서 오후부터는
드물게 가끔씩 일어나는 일이지만 주택이나 건물 중에서 기둥(柱)이 때때로 울고 흔들리듯 명동(鳴動)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건물의 기둥이 소리를 내거나 우는 경우를 가명주(家鳴柱)라고 한다. 건물의 기둥이 울음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놀라 가지기도(加持祈禱)를 하는 경우가 있다. 가지기도(加持祈禱)란 병이나 재앙을 막기 위해 신불에게 기도를 하는 일이다. 기도라는 용어는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말이다. 그러나 가지기도는 주문을 외우면서 천지신명과 부처의 대자 대비한 힘의 가호를 받아 중생이 득도의 길로 접어들려는 행위다. 밀주(密呪)의 염송(念誦)을 통해서 행하는 이러한 기도는 대체적으로 진언종과 천태종의 밀교수행자들이 많이 행하는 기도방식이다. 즉 가지기도란 언어자체에 주력(呪力)이 있다고 믿고 초월적인 존재에게 소원을 간절히 비는 것을 행위다. 이렇게 가지기도를 해도 그 기도의 공이 없고 거주자에게 재해가 초래되어 여러 사람이 바꾸어서 살아봐도 그 집에 사는 거주자들이 모두다 이산(離散)·파재(破財)·사망(死亡) 등에 이르게 하는 무서운 집이 바로 가명주가 있는 집이다. 그럴 경우에는 우선 그 울고 흔들리는 기둥인 명주(鳴柱)를 다른 기둥인 별주(別柱)와 바
달과 태양이 지구에 작용하는 인력(引力)의 영향 때문에 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낮아지는 간조와 해수면이 가장 높아지는 만조현상이 나타나는데, 태양보다는 달이 지구에 390배나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달이 태양 보다 갑절이나 더 크게 영양을 미친다.조석의 크기는 달이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다르고 초승달이나 보름달의경우에는 달과 태양 과 지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기조력이 최대가 되는데 이때를 사리(大潮)라하고, 상현(上弦)과 하현(下弦)일 때는 달과 태양이 서로 직각이 되는 방향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조금(小潮)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2주일주기로 교대로 나타나는데 계절과는 무관하지만 지구가 완전한 원형(圓形)이 아니고 지표면의 71%만 물로 덮여있고 육지의 분포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론과 실재는 다소 차이가 나타난다.조석은 만조와 간조가 24시간마다 2회씩 일어나는 반일주조(半日週潮)와 1회만 나타나는 일주조(日週潮)의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위도와 해안선, 달과 태양의위치, 지구의 자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1872년 학자 "켈빈"에 의하여 최초의 조후예보기(潮候豫報機)라는 계산기가 만들어졌는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조후예보기와 비슷하며 우
어떤 건물이나 주택에는 사방의 기둥(柱)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것은 오행의 목화금수(木火金水: 4기둥)로서 중앙에 있는 토(土)와 함께 짝(配)하는 이치다. 예컨대 첫째 동방목(東方木)의 기둥은 남방화(南方火)의 기둥을 목생화(木生火)로 생한다. 둘째 남방화(南方火)의 기둥은 중앙토(中央土)의 기둥을 화생토(火生土)로 생한다. 셋째 중앙토(中央土)의 기둥은 서방금(西方金)의 기둥을 토생금(土生金)으로 생한다. 넷째 서방금(西方金)의 기둥은 북방수(北方水)의 기둥을 금생수(金生水)로 생한다. 이렇게 갖추어진 사방의 4개의 기둥(柱)이 중앙에 있는 대지의 토(土)와 함께 짝(配)하여 만물생육의 덕을 구비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가록(家祿)인 것이다. 가록이 갖추어져 있는 집에 거주하여 살면 누구라고 할지라도 길(吉)하고 선(善)하다. 그러나 만약에 오행(五行) 중에 하나라도 결(缺)하게 되어 생육의 덕을 잃어버려 가록이 없는 집이라면 어떤 누구로 바꾸어 살아도 점차 불행이 초래되어 매사가 실패로 끝나게 되는 것은 천지자연의 이치다. 따라서 건물이나 주택을 지을 때에 기둥을 이어 붙이듯 주접(柱接)을 해서 2층이나 3층 등을 건축하게 되면 가족에게 여러 가지의 재
금년 여름은 예년처럼 장마기간이 일정하지 못하고 불규칙하여 계절의 흐름을 읽기가 어려웠다. 보통 장마가 끝난 후에 무더위가 찾아오는데 금년 여름은 더위가 장마가 거의 동시에 찾아와서 장마 전에 일부지방에서는 열대야현상이 자주 나타났는데 충북지방에 기상대가 있는 청주, 충주, 추풍령의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여름 날씨중 대표격인 최고온도와 강수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지난여름에 강수량이 예년보다 전반적으로 부족하였는데, 이는 매년여름에 1~2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직 간법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2008년도에는 단 한 개의 태풍도 없어서 강수량은 예년보다 다소 적었는데 추풍령이157mm나 적었고, 청주와 충주지방이 20mm정도 적었다. 연중강수량이 가장 많고 우기에 속하는 장마전후인 7~8월의 강수량 누계를 살펴보면 추풍령지방이325mm, 충주지방이513mm, 청주지방493mm,였고 강수일수는 7,8월을 합해서 추풍령 41일, 충주 35일, 청주 32일로 기간 중 조금이라도 비가 내린 날이 절반이상을 차지했다.기온은 예년과 거의 유사하여 7,8월에 최고기온의 평균은 3개 지역 모두 30도를 넘었으며, 그중 청주지방이 31,6도로 가장 높은 기온을 나타냈으며 추풍령지
인간은 불을 발견하면서 음식을 익혀 먹고 물도 끓여 마셨다. 사람이 살던 움집터들을 보면 집의 중앙에 불을 피우던 자리가 있었다. 여기서 물을 끓여 마시고 음식을 익혀 먹었다. 그 후 마른 초목을 땔 수 있는 화덕이 필요하게 되면서 중앙에 위치했던 화로가 벽으로 이동하였을 것이다. 이는 솥(鼎)을 걸기 위한 화덕으로 변하고 발전하여 부뚜막으로 발전한 것이다. 그래서 부뚜막은 솥이나 냄비 등을 올려놓고 가열하기 위한 시설로 화로와 함께 음식을 삶거나 익히는 취사용으로 사용하였다. 돌이나 흙을 쌓아서 위에 솥을 걸도록 만들었으며 부엌에 고정시켰다. 앞에는 건초나 장작 등의 연료를 넣기 위한 구멍이 있다. 화덕은 불꽃과 연기가 솥의 밑 부분에만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에 열효율도 좋지 않고 연기도 가득 찬다. 그러나 부뚜막을 온돌의 아궁이와 연결하면 여열(餘熱)을 이용한 난방도 가능하고 연기도 제거하기 쉽다. 이와 같이 부뚜막을 온돌의 아궁이와 연결하면 방바닥의 높이보다 부엌바닥이 낮아지므로 부엌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근래에는 온돌 아궁이와 분리한 개량 부뚜막을 만들게 되었으며 연료도 연탄을 사용함에 따라 부뚜막도 연탄용으로 개량되었다. 오늘날 프로판가스나 도시가스
[충북일보]청주시 문화제조창에 60년 전 조성된 옛 연초제조창 시멘트 굴뚝에서 균열이 발생해 콘크리트 덩어리 탈락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시에 따르면 이달 초 청주지역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됐을 당시 이 굴뚝에서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탈락하는 박락현상이 발생했다. 떨어진 콘크리트 덩어리들의 크기는 어른 손바닥만한 크기에 달했다. 이 굴뚝은 옛 연초제조창 기관실에 부속돼 있던 굴뚝으로, 현재 기록상으로는 1960년대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지어진 지 60년이 넘다보니 콘크리트가 노후화되면서 곳곳에서 균열이 발생했고, 강풍에 일부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떨어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 굴뚝의 높이는 50m에 달해 자칫하다 행인의 머리 위로 이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떨어질 경우 큰 부상으로 이어질 뻔했다. 다행히 당시 행인이 없어 큰 사고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시는 우선 탈락의 우려가 있는 콘크리트 덩어리들을 모두 아래로 떨어뜨린 상태다. 이후 굴뚝 인근에 펜스를 쳐 행인들의 통행도 차단했다. 시는 곧바로 긴급정밀안전점검을 의뢰해 이달부터 오는 6월까지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조사를 통해 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
[충북일보]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설 선물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충북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의 경우 물가 상승 영향으로 10만 원 미만 선물 물량은 지난해 설 보다 5%가량 줄어든 반면, 대형마트들은 5만 원 미만 선물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보이는 백화점 선물세트는 물가 상승 영향으로 구성 상품들의 시세가 전반적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청주지역 기준 배(신고) 평균 소매 가격은 10개에 4만2천900원 이다. 지난해 보다 27.37% 비싸다. 지난해 배 생산량 감소와 저장단계에서 고온 피해로 인해 유통 가능 물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에 여파를 미쳤다. 이에 기존 사과·배에 더해 샤인머스캣이나 애플망고를 섞은 혼합세트가 증가했다. 명절 주요 선물 상품인 한우의 경우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 부담을 낮추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대형마트는 '가성비'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고 있다. 지난해 설 보다 '5만 원 미만' 상품의 비중을 확대하거나, 커피·차 세트, 김·양말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선물 세트가 인기를 끈다. '1
[충북일보]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충북 지역 정치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각 정당은 '대선 모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확정되면서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 본격 착수했다.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본선 조직을 구성하는 등 전열 정비에 힘을 쏟고 있다. 29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충북도당은 다음 달 초 선대위 구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충북선대위는 도당을 중심으로 전·현직 단체장과 국회의원까지 폭넓게 아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광희(청주 서원) 충북도당위원장과 도내 현역 국회의원 등이 공동으로 선대위원장을 맡아 조직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현역 중 이연희(청주 흥덕) 국회의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 캠프 총괄본부에서 중책을 맡아 활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당은 5월 황금연휴가 지난 뒤 선대위 첫 회의를 발대식을 겸해 열기로 했다. 공직선거법에 선거일 전 30일부터 선거일까지 당원 집회 등을 열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 선대위 구성도 본격화하고 있다. 다음 달 12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만큼 인선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