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1.04 16:43:23
  • 최종수정2021.01.04 19:54:42
[충북일보] 코로나19가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고 있다. 엘리베이터마저 왠지 모를 두려움의 공간이다. 하얀 마스크와 사회적 거리 두기 안내문은 이미 익숙하다. 원격수업과 재택근무 역시 일상이다.

***가파를수록 더욱 깊게 숙여야

2020년, 묵은해는 참으로 지긋지긋했다. 코로나19가 연초부터 발목을 잡고 한 해의 끝까지 따라왔다. 봄꽃의 싱그러움을 제대로 만끽하지 못했다. 여름 피서지에서 여유로움도 없었다. 가을 단풍으로 물든 산야를 구경하기도 불편했다. 겨울 함박눈이 쌓인 설원에 닿기도 힘들었다. 결국 해넘이와 해맞이도 할 수 없었다.

올해 신년 산행 의식은 속리산에서 치렀다. 문장대 아래 펼쳐진 남과 북의 준령들이 압권이다. 눈이 시릴 정도의 설경은 덤이다. 신선대에서 문수봉, 경업대, 청법대, 천왕봉까지 겨울 산의 면모가 유감없이 드러난다. 굳이 능선을 따르지 않아도 좋다. 겨울 산길이 눈부시게 하얗다.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비경의 속살 만지기가 더 큰 기쁨이다. 겨울산행의 진수다. 천왕봉을 오를 때의 숨 가쁨보다 더 큰 희열을 준다. 산정에 다다른 환희와 같다.

천왕봉에 이르는 능선 길이 하얀 눈밭이다. 한마디로 설국(雪國)이다. 수시로 피어난 상고대가 파란 하늘과 어울려 신비감을 자아낸다. 눈꽃은 바람에 날린 눈이 나뭇가지에 꽃처럼 달라붙는다. 상고대는 공중 습기가 추운 날씨를 만나 나무에 얼어붙은 서리다. 한 마디로 얼음입자다. 눈꽃과 상고대를 가득 매단 가지들이 춤을 춘다. 어떤 가지는 빙화(氷花)를 매달고 탱고춤을 춘다. 겨울햇볕의 온기로 하나씩 떨어트린다. 백두대간의 장엄함에 숙연해진다.

겨울 산의 표정은 눈과 바람이 빚는다. 산이 잠을 자는 사이 다양한 모습을 그려놓는다. 까마득한 정적 속에서 분주하게 풍경을 조각한다. 눈과 비가 상고대를 빚고 눈꽃을 피운다. 하룻밤 새 겨울 산은 한 폭의 수목화로 되살아난다. 눈 온 날 겨울 속리산 걷기는 침묵의 횡단이다. 대자연 앞에 홀로 선 감동이 찬란하다. 하얀 상고대와 눈꽃이 반갑게 맞는다. 비스듬한 눈 사면에 비친 낮 햇살에도 땀이 난다. 능선의 오르내림에 조망이 밀당을 하듯 출몰을 반복한다.

한 시간 쯤 오르니 눈이 깊어 힘겹다. 이마에 땀이 좀 난다. 세찬바람 가르며 문장대에 선다. 백두대간의 장중한 능선과 봉우리들이 펼쳐진다.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남과 북을 잇는다. 남쪽으로는 지리산이, 북동쪽으로는 소백산이 이어진다. 겨울의 하얀 능선이 장중하다. 한반도의 대한민국 땅엔 만년설이 없다. 겨울 설산이 봄·여름·가을 산보다 강렬한 이유다. 하얗게 얼어붙은 설산은 눈부시다. 황홀하고 장엄하지만 처연하다. 모진 바람과 추위 앞에서 홀로 견딘다. 존재의 운명을 감내하고 절실하게 깨닫는다.

2021년 새해 첫날부터 속리산에 하얀 눈이 내린다. 백석이 나타샤와 떠나는 날처럼 내린다. 험준한 산은 본디의 강렬함이 선명하다. 순한 산에는 더 없는 포근함이 배어난다. 무명의 산마저 눈이 내리면 명산 부럽지 않다. 구름과 안개를 뚫고 우뚝하게 솟는다. 산을 오르려면 어쩔 수 없이 고개를 숙여야 한다. 가파를수록 더 깊게 숙여야 한다. 소원을 빌 때도 고개를 숙이고 절을 해야 한다. 관세음보살에게든, 산신령에게든 고개를 숙인다. 나를 낮춰 예를 갖추는 의식이다. 나를 내려놓는 겸손이다.

*** 내가 새로워야 새해도 새롭다

새해 마음가짐을 비장하게 한다. 뒤돌아보기도, 앞을 내다보기도 쉽지 않다. 계절은 멈추는 법이 없다. 코로나19로 미처 몰랐거나 잠시 잊었을 뿐이다. 속리산 산행에서 한 가지 깨닫는다. 도불원인인원도 산비이속속리산(道不遠人人遠道 山非離俗俗離山·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 사람이 도를 멀리하고, 산은 세속을 떠나지 않았는데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서북쪽으로 묘봉이 운해에 살짝 잠긴다. 북쪽으로 밤티능선이 백두대간을 줄곳 따라간다. 그 모습이 그대로 인생길을 닮는다. 두툼하게 쌓인 눈이 앞선 흔적을 지운다. 나무 계단도 잘 보이지 않는다. 그저 발 디딜 때마다 나는 뽀드득 소리만 들린다. 도(道)와 사람(人), 산(山)과 속세(俗世)를 떠올린다. 내가 새로워야 새해도 새롭다. 2021년, 한해 내내 사람들이 활짝 웃길 소망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