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7.05 18:14:29
  • 최종수정2020.07.05 18:14:31
[충북일보] 반려동물 천만 시대다. 다섯 가구 중에 한 가구가 반려동물과 살고 있다. 하지만 아직 관심의 크기와 별개로 책임감은 부족하다. 계속되는 동물유기가 그 증거고 증명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어려움이 생기면서 더 심각해지고 있다.

여름 휴가철마다 수많은 반려동물들이 버려지고 있다. 여름이 반려동물들에겐 결코 반갑지 않은 계절이다. 청주시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7~2019) 청주반려동물보호센터 유기동물 발생 현황은 2017년 1천476마리, 2018년 1천310마리, 2019년 1천867마리 등이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882마리의 반려동물이 유기됐다. 본격적인 휴가철인 7~9월 4마리 중 1마리가 버려졌다. 추석연휴에도 많은 반려동물이 버려지곤 한다. 버려지는 반려동물의 수만큼 지자체 지원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 중성화 사업이나 입양지원사업에 사용된다. 청주시는 지난해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에 5천950만 원을 투입했다. 올해도 8천40만 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유기동물 입양비용 지원사업에는 마리당 20만 원이 지원된다. 지난해 2천700만 원이 사용됐다. 올해 2천760만 원이 투입된다. 유기동물의 수가 줄어든다면 아낄 수 있는 예산이다. 청주시는 현재 청주지역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를 전체 가구 수의 25% 정도로 보고 있다. 반려동물의 수는 7만여 마리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말 기준 시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45.8%인 3만2천94마리다.

반려동물은 말 그대로 사람과 함께 살며 정을 주고받는 동물이다. 정서적으로 의지하며 함께 지낸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의지하는 사이다. 하지만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개나 고양이라고 밥만 주면 되는 게 아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살려면 그런 인식부터 버려야 한다. 반려동물과 달콤한 삶은 주인의 각별한 노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열한 노력이 필수다. 그런 노력을 할 수 없다면 반려동물을 집에 들이지 않아야 한다. 반려동물은 절대 장난감이 아니다. 반려동물은 들일 때부터 신중해야 한다. 많은 가정이 아이들의 떼씀에 못 이겨 집에 들이곤 한다. 그러나 뒷바라지가 만만치 않음 알게 되면서 유기를 고민하게 된다. 아이의 관심도와 유기가 비례하는 이유는 여기 있다. 멋으로 반려동물을 들이는 일도 피해야 한다. 여름 휴가철에 반려동물을 버리는 사람이 많은 이유도 여기 있다. 아무런 애정 없이 동물을 들여와 재미삼아 기르다가 귀찮아지면 버리기 때문이다. 대부분 유기는 애당초 제대로 반려로 삼을 생각이 없이 무책임하게 들여왔다가 슬그머니 버린 경우다.

반려동물 등록제가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등록률이 그리 높지 않다. 청주시 현황도 다르지 않다. 몸 안에 인식칩을 삽입하는 내장형의 경우 1만4천430마리(44.9%)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1만7천189마리는 목걸이 형식의 외장형 인식칩이거나 인식표다. 주인이 마음만 먹으면 유기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반려동물 추정치를 더했을 때 청주지역에서만 5만5천여마리의 반려동물이 유기돼도 주인을 찾을 수 없다는 얘기다. 물론 내장형 인식칩의 경우 반려동물에게 해가 된다는 오해가 있어 꺼리는 분위기도 있다. 우리는 동물을 거래할 때 등록을 선행하도록 법으로 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등록하지 않은 동물을 거래한 경우 법으로 제제할 수 있어야 한다. 거래업소의 영업을 제한하거나 높은 벌과금을 부여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비정한 방법으로 동물을 가두어놓고 출산시키는 악덕 동물생산 업자를 처벌하는 규정도 필요하다. 현행법상 반려동물을 버리는 경우 최대 300만원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규정마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우선 반려동물 관련 법 개정이 필요하다. 등록의무를 철저히 하고 유기 처벌도 강화하는 게 마땅하다. 반려동물은 평생을 함께 하는 동물이다. 마음대로 키우다가 버려선 안 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