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2.04 18:40:44
  • 최종수정2015.02.04 18:40:42

신순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산업사회에는 수많은 직업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 직업들은 산업사회가 발달 할수록 지속적으로 분화되어 그 수는 늘어나게 된다. 현재 우리 사회의 직업들을 관찰해 보면 참으로 다양한 직업들이 존재하고 있고, 또한 계속해서 새로운 직업들이 태어나고 있다. 사람들은 누구든 직업을 가지고 일을 하게 되고 거기에서 소득을 얻고, 이 소득으로 가정을 운용하게 되고, 기업활동을 하면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또한 이 소득에서 세금을 납부하게 되고, 이 세금으로 국가를 운용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이 직업 속에서 희로애락(喜怒哀樂)의 많은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 즉 여기에서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한 메카니즘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에게 아주 궁극적인 것으로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행복(幸福)이고, 다른 하나는 고통(苦痛)이다.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고 있고, 고통이 다가오는 것을 싫어하고 있다.

행복과 고통은 같은 무게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한다. 행복과 고통은 대칭적인 것이 아니고, 행복을 추구하는 것보다 고통을 피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행복은 계속되면 지속적으로 행복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처음에는 불행하다가 그다음 행복해지면 그때는 이 행복이 좋다고 느끼지만, 행복이 지속되어 세월이 조금만 흐르면 안타깝게도 인간은 행복하다는 것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고통은 그렇지 않다. 처음 병을 얻었을 때는 물론 아프고, 이 병이 계속된다면 더욱 아파서 고통은 더욱 깊어진다. 사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죽음보다 더 무서운 것이 고통인 것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병이 났을 때 아프지 않으면 큰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인간이 병이 났을 때 처음에만 아프고 그 다음 아프지 않으면 어떻게 하겠는가, 병을 고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죽어 버린다. 그러면 왜 계속 아픈 것일까· 고치라고 계속해서 아픈 것이다. 세상의 이치(理致)라는 것이 참으로 오묘하다.

현대인들은 수많은 직업군들 속에서 서로 부딪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 속에서 몸과 마음이 피곤하고 과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 된다. 병을 얻게 되면 고통이 수반하게 된다.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이 휴식(休息)이다. 다시 말하면 휴식도 생산적 휴식(生産的 休息)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휴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소극적 휴식과 적극적 휴식이 있다. 소극적 휴식은 몸을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쉬게 하는 휴식으로 잠을 자거나 잡담을 하거나 TV를 보거나 만화책을 읽는 등 움직이지 않고 그냥 빈등거리는 것을 의미한다. 적극적 휴식은 몸을 움직이면서 하는 휴식으로 머리를 크게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즐거움이 수반되는 일을 의미한다. 산책을 하거나 정원을 돌보거나 콘서트를 관람하거나 가벼운 시사잡지를 읽는 등의 휴식을 말하는 것이다. 각각의 직장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로 시달리는 현대인들은 각자에게 적합한 소극적 휴식과 적극적 휴식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내일을 충전할 수 있는 생산적 휴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