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복약지도 의무화 4일째, 약국 가보니…

별도 설명없이 藥 판매 … 갈 길 먼 의무화
청주지역 무작위 확인결과 20곳 중 11곳 미이행
사실상 처분 어려워…과태료 규정만 '덩그러니'
"모호한 법규 지양…현실에 맞는 적용기준 필요"

  • 웹출고시간2014.06.23 19:18:39
  • 최종수정2014.06.23 20:00:33
지난 19일 의약분업 도입 14년 만에 약사의 복약지도가 의무화됐지만, 일선 약국의 참여율이 낮아 제도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약사 B씨는 "의약분업 도입 14년 만에 약사의 복약지도가 의무화됐지만, 구체적인 정의 없이 과태료 규정만 있어 약사들을 잠재적 범법자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복약지도 미이행 시 바뀐 법령, 약사법 제98조에 의해 3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본보가 21~22일 내덕동, 사창동, 서운동 등 청주지역 약국 20곳을 무작위로 확인한 결과 11곳에서 서면이나 구두로 복약지도를 하지 않았다.

특히 약사 혼자 경영하는 개인 약국에서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기자가 직접 인후염 치료제인 '스트렙실'을 달라고 하자 약사는 용법ㆍ용량 등 복약지도 없이 약을 내줬다.

근처 또 다른 약국도 마찬가지였다. 진통해열제를 달라고 말하자 증상을 한번 묻더니 선뜻 '타이레놀'을 줬다.

이 약은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복용하면 간이 손상될 수 있는데 이같은 주의사항이나 부작용 등 별도의 설명은 없었다.

문제는 이런 사례가 적발돼도 복약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없이 과태료 규정만 있어 사실상 처분이 불가하다는 것이다.

약사법 시행규칙에는 의약품의 명칭과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방법, 부작용, 상호작용 등의 정보를 서면 혹은 구두로 제공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복약지도 내용을 보면 '약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라고만 명시돼 있어, 약사들이 부실한 복약지도를 했다는 이유로 과태료를 내는 일이 쉽게 벌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약사 A씨는 "복약지도 의무화가 시행되더라도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며 "기본에 충실한 구두 복약지도를 원칙으로 서면 복약지도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정보 제공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약사 직능을 위한 올바른 방향"이라고 말했다.

복약지도 의무화가 자칫 약사들을 범법자로 내몰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약사 B씨는 "약사들은 잠재적 범법자다. 이처럼 모호한 법규 때문"이라며 "구두로 복약지도를 했지만, 환자나 보호자가 복약지도를 받지 않았다고 하면 마찰이 빚어질 수 있다. 약국 현실에 맞는 적절한 적용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 이주현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