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조선시대엔 '銅佛'로 실내 위치, 법주사 미륵불

  • 웹출고시간2014.05.06 15:10:42
  • 최종수정2014.05.06 15:09:45

조혁연대기자

속리산 법주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조형물은 팔상전(국보 제 55호)과 미륵대불이다. 팔상전은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목탑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사명대사의 요청으로 1624년(인조 2)에 재건됐다.

조선은 유교가 국시였기 때문에 불교를 가혹하다 싶을 정도로 탄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란기의 승려들은 호국사상으로 무장, 전국 곳곳에서 전공을 많이 세웠다.

따라서 임진 직후의 조선 조정은 그에 대한 보답으로 불교계의 요청을 일시적으로 수용,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불사(佛事)가 많이 일어났다. 법주사 팔상전도 그런 배경하에 건립됐다.

이에 비해 법주사의 또다른 상징물인 미륵대불은 시간적으로 전통과 현대에 걸쳐 있는 묘한 조형물이다. 법주사 미륵대불은 신라 혜공왕때 진표율사에 의해 동불(銅佛)로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흥선대원군 때 경복궁을 건립과는 과정에서 일주문 밖으로 반출, 당백전을 주조하는데 사용됐다.

법주사 미륵대불이 동불이자 실내에 존재했다는 사실은 17세기 선비 정시한(丁時翰·1625-1707)이 지은 '산중일기'에 잘 드러난다.

"말을 달려올라 가보니, 법주사가 수정봉 아래에 있었다. 지대가 평평하였다. 제3문으로 들어가니 높이가 7,8장쯤 되는 동주가 있었다. 여러 비어 있는 청사를 지나면서 보니 5층 각에는 8상의 부처가 있고 2층각에는 미륵불상이 있는데 높고 우장한 것이 일찍이 보지 못했던 바였다.-<산중일기 중에서>

정시한의 기록이 맞다면 조선시대의 법주사 미륵대불은 야외가 아닌 2층 건물 내에 봉안돼 있던 것이 된다. 그리고 인용문에 등장한 '동주'는 사찰입구에 세워지는 '당간'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법주사 미륵대불은 이후 일제강점기인 1393년 청원출신 조각가 김복진에 의해 '시멘트불'이 조성됐으나, 지나친 하중에 따른 균열 등의 위험을 고려해 1987~1990년 청동미륵대불로 교체됐다.

그러나 청동미륵대불은 용접부위가 부식되면서 불상에 얼룩현상이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심각했다. 따라서 2000~2002년 총 공사비 12억원의 예산으로 청동 표면에 금박을 입히는 이른바 개금불사가 진행됐다.

이때 순금 80㎏을 총 9백㎡의 겉면적에 0.003㎜ 두께로 금박을 입혔고, 재료가 달라졌기기 때문에 명칭도 청동미륵대불에서 금동미륵대불로 바뀌었다. 법주사 미륵대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불교사나 건축사가 아닌 경향신문 1964년 6월 15일자에 실려 있다.

이 날자 경향신문에 따르면 '동제미륵대불'이 흥선대원군에 의해 반출된 후 1939년까지 약 70년 동안 일대 자리는 허허벌판으로 잡초만 우거졌다. 이때 전국을 돌아다니며 사재를 들여 많은 사찰을 건립하던 전북태인 출신의 김수곤 씨가 법주사에 나타났다. 경향신문은 다음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당시의 주지 장석상씨는 대원군의 배불정치로 불상이 뜯겨 역사상 큰 오점을 후세에 남기게 되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의견에 일치, 바로 그 자리에서 김씨의 사재로 미륵불을 더욱 크게 세우기로 했다. 조각의 제일인자로 알려진 김복진씨에 의해 높이 80자의 콘크리트 불상 건립에 착수했다.'-<경향신문 1964년 6월 15일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