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28일 '단양 적성 고분군 유적' 발굴 현장 공개

신라 돌덧널무덤 2기와 토기·금동귀걸이 등 확인
단양 적성비 주변 대단위 고분유적 밝혀 의미 커
충북도문화재연구원, 추후 답사·교육 등 운영 계획

  • 웹출고시간2024.08.26 17:26:03
  • 최종수정2024.08.26 17:26:03

단양 적성 고분군 37호·127호 유적 발굴 조사지역 전경.

[충북일보] 충북도문화재연구원(원장 김양희)은 오는 28일 오전 10시 30분 '단양 적성 고분군 37호·127호 유적' 발굴 현장(단양군 단양읍 단성면 하방리 52-1)을 국민에게 공개한다.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 단양군(군수 김문근), (사)한국문화유산협회(회장 김창억)와 함께하는 이날 현장 공개는 매장유산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한 '매장유산 학술발굴조사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단양 적성 고분군은 단양 적성(사적),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주변에 위치해 학술적 가치가 크다. 특히 지난해 지표조사를 통해 약 141기의 고분 분포 범위가 확인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단양 적성 고분군 37호.

이에 단양군과 (사)한국문화유산협회에서는 고분의 성격과 가치 규명을 위해 충북도문화재연구원에 위탁해 지난 5월부터 단양 적성 고분군 37호·127호 학술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37호 돌덧널무덤에서 가락바퀴와 금동귀걸이(金銅耳飾), 127호에서는 굽다리접시(無蓋一段透窓高杯)와 작은항아리(小壺), 가락바퀴 등이 출토됐다. 유물은 대부분 무덤 바닥에서 확인됐다.

유물의 제작 시기는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시기인 대략 6세기 중반 무렵으로 추정된다.

또, 37호와 127호 고분 이외에도 2기의 신라 돌덧널무덤을 발견했다. 이들 무덤들은 능선의 등고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조성됐으며, 구덩을 파고 깨진 돌을 활용해 무덤 전체를 벽으로 둘러쌓고, 벽 위에 비교적 커다란 뚜껑돌 9매를 얹는 방식으로 조성된 것을 확인했다.

충북문화재연구원은 "이번 조사는 단양 적성 및 단양 신라 적성비 주변에서 확인된 대단위 고분유적의 실체를 밝혀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의 역사성을 밝히는 자료를 제공했다"며 "도굴 등으로 점차 훼손돼 긴급한 정비가 필요한 유적의 보존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단양 적성 고분군 37호·127호 학술발굴조사 현장공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충북도문화재연구원(043-279-5441)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 현장과 성과는 추후 영상으로 제작해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유튜브 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며, (재)충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는 답사 및 교육 프로그램 등 관련 연계 프로그램 또한 기획·운영할 계획이다.

/ 임선희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