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3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토론과 돌봄 병행 '질문하는 아이' 화제

온·오프라인으로 문해력과 경청능력 향상
경력단절 부모 1천600명 프로그램에 참여
서울·청주 전국 곳곳 '하브루타 교육' 열풍

  • 웹출고시간2022.04.17 13:29:39
  • 최종수정2022.04.17 13:29:39

김금선 하브루타 소장

[충북일보] "1시간의 질적인 돌봄 시간 동안 아이는 마법의 성장 시간을 경험한다."

독서 토론과 돌봄을 합친 신개념 보육서비스가 전국 최초로 시행된다. 온·오프라인이 병행되는 이 서비스는 대도시는 물론, 충북 청주 등 전국 곳곳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브루타 부모교육연구소는 17일 영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을 위한 하브루타 독서토론 교육을 제공하는 '질문하는 아이'를 새롭게 오픈한다고 밝혔다.

하브루타의 '질문하는 아이'는 보육 시간 동안 선생님과 아이가 짝이 되어 함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고 토론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타고난 기질과 성향이 다른 아이의 대화법과 학습법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면서, 문해력과 경청 능력, 논리력, 협상 능력, 메타인지 등을 높이게 된다.

또 토론 과정을 통해 상담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하브루타로 책을 읽으면 아이는 본인의 속 마음을 자연스럽게 꺼내기 때문이다.
실제 하나의 이야기를 가지고 "주인공은 왜 그런 결정을 했을까. 너라면 어떻게 했을까" 등의 대화를 나누다 보면, 아이들의 심리나 감정적인 상태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질문하는 아이'의 가장 큰 강점은 양질의 교사를 다수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서비스를 론칭한 김금선(사진) 하브루타 부모교육연구소 소장은 지난 10여 년 간 하브루타 교육을 전국 곳곳에 확산시킨 인물이다. 현재까지 부모 교육 수업을 통해 70기 이상 1천600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이렇게 배출된 부모교육사 3급 자격증 이상 또는 독서토론지도자 2급 자격증 이상 수료생들은 모두 '질문하는 아이'의 잠재적 교사다.

여기에 교사들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정기 연수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보육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일관된 역량을 갖춘 교사가 핵심 자산이라는 얘기다.

'질문하는 아이'는 서비스를 B2C에서 그치지 않고 B2B로도 제공한다. 공공기관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방과 후 돌봄 서비스와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질문하는 아이'는 경력 단절 엄마들에게 교육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한다는 데 의미가 크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부모에게 하브루타 부모교육연구소의 부모 교육 특강과 정규 과정 비용이 제공되고, 자격을 취득한 부모는 '질문하는 아이'의 교사로 활동할 수 있다.

김금선 하브루타 부모교육연구소 소장은 "이미 암기 위주 교육의 문제점이 사회적으로 공론화됐지만, 아직까지 이를 극복할 확실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질문하는 아이' 프로그램은 향후 우리 아이들의 창의력을 키우는 새로운 교육방식으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 김동민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