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군이 좌구산 휴양랜드를 지난 16일 부분개장한데 이어 시설을 정비하고 본격적인 손님맞이에 들어간다.
[충북일보] 청주 도심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을 희망하는 충북도민 서명운동이 22일 오후 4시 기준 8만5천 명을 넘어섰다. 서명운동은 정부가 수립 중인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지역 여론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16일부터 온라인(http://ccmetro.kr/)으로 진행되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는 지난해 12월 14일 충청권 4개 시·도가 합의한 광역생활경제권(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1호 사업으로, △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 도심(시내)~오근장(청주공항) 광역철도 △세종청사~조치원(일반철도 신설, 서울 운행) △보령~공주~세종청사(일반철도 신설) 등 3개 노선으로 구상돼 있다. 충북도는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을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이전인 이달 말까지 50만 명의 서명을 받아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서명운동과 함께 정부를 설득하는 자치단체장들의 행보도 분주하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22일 최상대 기획재정부 예산총괄심의관을 만나 청주 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이 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기재부 차원에서 노력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 지사는 청주~대전·세종 간 이동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외국인 부실 관리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방역과 역학조사 과정에서 불법체류, 열악한 주거환경, 집계와 현실의 괴리 등 총체적 관리 부실이 드러난 것이다. 충북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충북에서 코로나19 외국인 확진 비중이 커지고 있다. 올해(1월 1일~2월 22일) 도내 코로나19 외국인 확진 비율 지난해(2월 20일~12월31일) 56명보다 3명 많은 59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외국인 확진 비율은 4.7%(1천185명 중 56명)에서 11.0%(534명 중 59명)로 6.3%p 증가했다. 해가 바뀐 지 2달이 채 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보다 외국인 확진 사례가 훨씬 늘어난 셈이다. 가장 큰 원인은 '외국인 근로자 대한 부실한 방역관리'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외국인 근로자(E-9·비전문취업 비자)는 1만2천916명이다. 이들은 주로 제조업에 종사하며 기숙사나 고시원,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에서 합숙생활을 해 감염병 전파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의사소통이 어렵고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데다 검사를 기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이들에 대한 방역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충북일보] 본격 미호강 시대의 도래에 앞서 '미호천(美湖川)'의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 민족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강(江)을 천(川)으로 격하하면서 만들어진 이름이라는 이유에서다. 구체적으로는 옛 이름인 '동진강(東津江)'으로 바꾸거나 하천 규모에 맞춰 '강(江)'으로 승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류귀현 운초문화재단 이사장을 만나 옛 기록 속 미호천의 흔적을 통해 명칭 복원의 역사적·지형학적 당위성을 들어봤다. "'미호천'이라는 명칭은 명백한 일제 잔재죠. 이것을 불식시키기 위해선 우리 조상들이 부르던 '동진강'으로 명칭을 바꿔 얼과 영혼이 흐르는 강의 정체성을 확고히 해야합니다." 류귀현 운초문화재단 이사장이 역사적 배경을 들어 미호천 명칭 변경의 당위성·타당성을 역설했다. 발원지 관련을 제외하면 대체로 미호천 수계에 대한 제원은 어느 정도 정리됐으나 명칭에 대한 논의는 현재진행형이다. 국가하천 승격 이후부터 최근까지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미호천 명칭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지난 2014년 통합청주시가 출범하고, 세종시가 들어오면서 미호천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졌다. 이를 바탕으로 미호천의 수질을 개선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