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2.26 15:10:46
  • 최종수정2017.02.26 15:10:46
[충북일보] 충북의 KTX세종역 신설 백지화 운동이 힘을 잃을 처지다. 충청권 공조가 '무늬만 공조'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충북과 충남, 대전과 세종 등 충청권 4대 시·도가 공동으로 대선 공약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겉으로는 서로 힘을 보태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할 땐 애매한 태도로 일관한다.

최근엔 KTX 세종역 신설 문제가 대표적이다. 설치 여부에 대한 의견은 서로 다르다. 각자도생을 택하고 있다. 외관상 공조는 분명하다. 하지만 이면에는 공동의 이익보다 각자의 실속을 챙기려는 셈법이 강하다.

그러다 보니 약간의 이해만 달라도 공조가 어려워지고 있다. 충북도는 스스로 실속을 포기하는 우까지 범했다. 지난 23일 발표된 19대 대선공약 건의과제에서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 내용을 뺐기 때문이다.

세종역 신설 백지화는 중부고속도로 확장 등과 함께 충북의 5대 핵심현안이다. 그런데 충북도의 대선 공약 건의과제에서 빠졌다. 충청권 공동발전을 위한 공조 유지를 위해서라는 게 충북도의 설명이다.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세종시는 지금도 거침없이 세종역 설치를 공약으로 채택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충북도는 이런 모순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저 또 정치 논리에 밀려 힘없는 충북도가 양보한 것이라고 할 것인가. 무슨 방식으로든 해명해야 한다.

충북도의 태도를 쉽게 이해할 도민들은 없다. 지금까지 주장과 앞뒤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더 그렇다. 유력 대선주자들이 KTX 세종역 신설과 관련해 애매한 태도를 보인 게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최근 충북을 방문했던 유력 대선주자들마다 충북의 KTX 세종역 신설 반대운동에 김을 빼놓고 돌아간 게 사실이다. 타당성 용역 결과를 지켜 보자거나, 시장원리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는 식으로 답변했다.

우리는 세종역 신설 백지화가 왜 대선공약 건의과제에서 빠졌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그것도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 충북 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 차원에서 확인해야 한다. 그런 다음 다시 각 정당과 대선 주자들에게 공약 채택을 요구해야 한다.

충북은 초기 '신행정수도 위헌 판결, 행복도시 수정안 추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세종시가 명실상부한 행복도시로 자립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심지어 옛 청원군 부용면 8개리 2천688가구, 6천599명을 신설되는 세종시에 넘겨줬다.

그러나 세종시는 달랐다. 그간 대승적 차원에서 행한 충북의 희생을 아랑곳 하지 않고 있다. 상생은커녕 충북의 안방까지 넘보고 있다. 세종역 신설을 통해 신수도권 관문역인 오송역의 지위를 무력화 하고 있다.

충북은 그동안 주기만 했지 얻은 게 별로 없다. 국가 정책 시행 때도, 대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지역에 돌아온 이익이 없다. 한 마디로 '빛 좋은 개살구'였다. 이번 대선에서도 그러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이시종 지사는 다시 생각해야 한다, 세종역 신설 백지화가 각 정당 대선후보들의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 세종역 신설은 애초 세종시 건설 취지에서도 크게 벗어난다. 오송역의 세종시 관문역 역할과도 배치된다.

도민들도 달라져야 한다. 세종역 신설 백지화 공약 채택 여부를 분명하게 구별해야 한다. 더 이상 어정쩡한 리더십에 휘둘려선 안 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