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1.22 15:47:11
  • 최종수정2017.01.22 15:47:11

김희찬

아이들의 하틀 주비위 간사

소한(小寒)이 지난 1월의 첫 주말 따뜻했다. 제주도에는 비소식이 있는 오후, 목계(牧溪)로 향했다.

가흥삼거리를 둘러 돌았다. 30여 미터 지나 왼편 국기게양대 옆에 키 작은 비석이 여럿 있다. 임의백(任義伯), 정태호(鄭泰好), 박회원(朴會源), 정경순(鄭景淳), 조병로(趙秉老), 이정노(李正魯), 민치상(閔致庠) 이렇게 일곱이다. 임의백은 수운판관이고, 박회원은 학생, 민치상은 순상, 그 외는 모두 충주목사이다. 임의백의 불망비는 조선시대 가흥창(可興倉)이 한강 수운의 조세집산처로 기능할 때의 상황을 보여준다. 그나마 조병로가 1869년 충주읍성을 수축했던 목사임을 알겠고, 나머지는 안내판이 없으니 그냥 보아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풀 섶에 반쯤 가려져 방치된 듯한 모습이 보기에 좋지 않다.

목계다리를 건너기 직전 오른편에 솔밭이 있다. 강가로 노송이 자리하고 오른쪽에는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오토캠핑장이 드넓다. 솔밭 안쪽에는 9기의 묘소와 반공투사추모비가 있다. 이선규(李善圭), 권중대(權重大), 홍선식(洪善植), 김용기(金容基), 변용출(卞龍出), 박삼수(朴三壽)의 여섯 분은 목계청년단원들로 6.25 때의 민간인 희생자들이다. 그 옆의 이등중사 김양수, 일등병 이길상, 일등병 김상렬 역시 목계 출신의 6.25 때의 군인 희생자들이다. 추모비가 있지만, 자세히 보기 전에는 잘 알 수 없는 추모공간이다. 묵념을 올리고 돌아섰다.

목계다리에서 건너다 보았다. 낙엽진 부흥산의 실루엣이 가파르다. 중간 어디쯤 있을 부흥당은 잘 보이지 않는다. 수해로 올라앉은 목계의 옛 모습을 잠시 그려본다. 백사장 그득 사람들이 모여 청룡 백룡 어영차 줄다리기에, 응원에 펄럭이는 수십 수백의 농기(農旗), 힘을 불어 넣는 농악소리가 굉장했을 그곳은 텅 비어있다. '뱃길이라 서울 사흘 목계나루에 / 아흐레 나흘 찾아 박가분 파는 / 가을볕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라던 목계장도 폐장된 지 오래다. 부흥산 나목(裸木)과 짝을 이룬 목계는 마냥 쓸쓸해 보인다.

강을 건너 목계 초입에는 사람 세 길쯤 되는 '목계나루터'라는 마을비가 서있다. 그 옆에 보통 크기의 송덕비가 하나 있다. 이효승(李孝承). 1958년 직선제 첫 엄정면장으로 13년을 봉직한 인물. 그리고 그는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과 엄정초 동창으로 그에 대한 이야기를 짧게나마 들려줬던 인물이다. 그 옆, 폐장된 목계장터에 신경림 시인의 '목계장터' 시비가 역광을 받아 눈부시다.

잠깐 걸어 부흥산 끝자락 바위서렁 아래에 있는 목계별신굿 줄다리기 유래비로 향했다. 목계장과 함께 사라진 별신굿과 줄다리기, 이제 그 유래만 비문에 남아있다. 그 옆에 윤해영(尹海英)과 박해성(朴海成)의 송덕비가 나란하다. 20세기 전반기 흥성했던 목계 시절에 지역 유지로 활동한 분들이다.

이들을 뒤로 하고 시내버스 정류소로 갔다. 그 옆에 우뚝 선 비가 하나 있고, 평비가 양옆에 앉아 있다. '민주열사 김중배 추모비'다. 김중배, 익숙한 듯 낯선 이름이다. 이는 1965년 4월 한일협정 반대 집회에 참석해 경찰봉에 맞아 희생됐다. 4월 13일 집회에서 다쳤지만 곧바로 치료받지 못해 4월 15일에 절명했다.

'친구와 싸우다 다쳤고 그래서 사망했다'는 뻔 한 거짓말로 사태를 덮으려 했다. 그러나 군사정권의 억센 누름에 밀려 가해자도 찾지 못했고, 밀어붙인 한일협정이 타결되면서 무게중심이 그쪽에 쏠렸다. 그리고 4월 23일, 미루고 미뤄진 장례식이 봄비 추적거리는 목계에서 진행됐다.

"슬프다. 피지도 못하고 떨어진 한 떨기 무궁화, 그대 흘리신 피, 그대 간직한 얼, 3천만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남으리라"는 만장 하나가 봄비에 젖고 있었다. 그의 학교 동기들이 보내온 만장. 그 동기 중에 반기문(潘基文)이 있었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 그 봄비에 젖은 만장의 변주곡(變奏曲)이 '하늘은 날더러, 땅은 날더러, 산은 날더러, 물은 날더러~~'라며 폐장된 목계장터의 여운으로 그를 울린 것일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