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년 취업자 10명 중 6명 수도권 직장 취업

충북 청년, 32.6% 타 시·도 완전 이동
52.2% 출신지역 유지…15.2%는 유턴
"청년 복귀 위한 경제적 지원책 필요"

  • 웹출고시간2025.01.09 14:35:38
  • 최종수정2025.01.09 14:35:38
[충북일보] 우리나라 청년(20~29세) 취업자 10명 중 6명은 수도권 지역 직장에 취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경우 고향으로 재취업해 복귀하는 청년층 규모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경제적 인센티브를 포함한 다양한 지원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고향을 떠나 서울 등 수도권으로 취업한 청년들이 다시 고향으로 유턴해 회귀하는 경우가 노동시장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연구가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고용동향브리프 2024년 5호'에 실렸다.

황광훈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출신지역-학교-노동시장 이행에 따른 지역 간 이동:고향으로 유턴하여 돌아오는 청년들은 있는가'라는 심층분석을 했다.

이번 연구는 '2024청년패널조사(청년패널2021)'자료를 활용해 청년층의 '출신지역-학교(대학)-취업(첫 일자리·현재 일자리)' 지역으로의 변동 현황 등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됐다.

출신지역-첫 일자리-현재 일자리 지역의 주요 분포 현황을 보면 수도권은 출신지역보다 현재 일자리 지역에서 비율이 증가(6.5%p)한 반면 중부권(-1.4%p), 호남권(-1.5%p), 영남권(-3.7%p) 등 비수도권 지역은 감소했다.

현재 일자리 기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청년 취업자 비율은 58.1%로 파악됐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 중 광역시 지역에 취업 중인 청년 취업자는 19.6%, 비광역시에 취업 중인 경우는 22.3%에 그쳤다.

충북은 2.7%에 불과했는데 인근 대전(2.9%), 충남(3.7%)보다 적었다.

출신지역을 유지하는 경우(유형1), 다시 출신지역(현재 일자리)으로 복귀하는 경우(유형2), 출신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완전 이동하는 경우(유형3)로 나눠 분석한 결과 지역 간 이동 없이 출신지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는 약 85%(권역기준) 이상 높게 나타났고 10명 중 1명은 타 지역으로 완전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도별로 보면 충북은 지역 간 이동 없이 출신지역에 계속 거주하며 노동시장 진입 이후에도 동일지역 취업상태를 유지(1유형)하는 비율이 72.6%로 타 시·도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출신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한 후 다시 출신지역으로 복귀(2유형)한 청년은 1.6%에 불과했고 출신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완전 이동(3유형)한 청년은 25.8%로 파악됐다.

서울(80.0%), 경기(70.1%), 전북(74.4%)은 충북과 함께 1유형에 속한 청년이 많은 편이었는데 강원, 전남, 경북, 경남은 3유형이 40% 이상이었다.

대졸 청년층의 출신지역-대학-현재 일자리 지역 변동 현황을 보면 충북 청년의 52.2%는 1유형에 속했고 2유형은 15.2%, 3유형은 32.6%로 파악됐다.

충북이 출신지역인 청년 10명 중 3명 이상은 충북을 완전히 떠난 셈이다. 타 시·도 대학에 진학했다가 출신지역으로 돌아온 청년은 10명 중 1~2명에 불과했다.

인천, 강원, 전남, 경북, 경남의 경우 3유형에 속한 청년 비율 4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황광훈 부연구위원은 "현재 청년 노동시장에서 일자리 진입으로 인한 지역 이동 특징은 출신지역에서 완전 이탈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이들을 출신지역(고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 등 정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지역 산업구조와 연계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다양한 주거 옵션이 보장된 주거 임대 등 주거지원 정책 △지역 내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접근성 강화 △출신지역 학교 진학과 일자리 유지 청년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고향 복귀 청년에 대한 보조금 지급·주거 지원 등을 제안했다.

황 부연구위원은 "노동시장 진입 이후 취업을 통해 지역 간 이동을 경험한 청년층은 다시 출신지역인 고향으로 유턴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현재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경우 고향으로 재취업해 복귀하는 청년층 규모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