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6℃
  • 맑음강릉 19.5℃
  • 맑음서울 20.8℃
  • 맑음충주 19.5℃
  • 맑음서산 18.8℃
  • 맑음청주 21.0℃
  • 맑음대전 20.6℃
  • 맑음추풍령 20.2℃
  • 맑음대구 21.3℃
  • 맑음울산 16.7℃
  • 맑음광주 20.9℃
  • 맑음부산 15.7℃
  • 맑음고창 19.5℃
  • 맑음홍성(예) 19.5℃
  • 맑음제주 16.4℃
  • 구름조금고산 14.9℃
  • 맑음강화 17.4℃
  • 맑음제천 19.2℃
  • 맑음보은 19.3℃
  • 맑음천안 21.0℃
  • 맑음보령 16.0℃
  • 맑음부여 20.6℃
  • 맑음금산 20.5℃
  • 구름조금강진군 20.0℃
  • 맑음경주시 22.2℃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12.11 19:40:02
  • 최종수정2024.12.11 17:20:26
[충북일보] 국정 컨트롤타워가 실종 상태다. 계엄과 탄핵 정국의 후폭풍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덕수 국무총리도 내란죄에 가담한 혐의가 있다며 경찰에 고발했다. 자신들이 발의한 '내란 특검' 수사 대상에도 포함시켰다. 혼돈과 혼란이 쉽게 가시지 않을 것 같다. 무엇보다 일상의 생업이 먼저인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치가 시민의 일상을 흔드는 형국이다. 다수의 힘으로 밀어붙이기만 해서도 안 된다. 정치 득실만 따지는 대응으론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대통령 탄핵이나 하야와 상관없이 진행돼야 할 일들은 너무 많다. 특히 경제는 일방통행으로 되는 게 아니다. 주문과 생산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국정은 대통령의 탄핵이나 하야 여부와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돌아가야 한다. 국가가 어려울수록 여야가 한 몸이어야 한다.·지금은 후폭풍을 줄이는 게 급선무다. 경제 살리기에 여야가 따로 일 수 없다. 더는 정치 불안이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는 일은 없어야 한다. 건설을 포함한 경제계가 혼돈에 빠진 이유는 불확실성 증대에 있다. 시장은 불확실성의 장기화를 가장 두려워하고 싫어한다.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을 빨리 끝내야 한다. 지금으로선 그 게 최선이다. 그런데 정부는 지금 코너에 몰려 있다. 직접 나서 해결할 수가 없다. 결국 경제마저 정치의 영역으로 옮겨 간 셈이다. 여야는 지금 대통령 퇴진 이후의 정치적 유불리를 따질 계제가 아니다. 민생 경제가 정치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먼저 할 일이다. 신속히 대통령 퇴진 방법과 일정을 마련해 불확실성을 제거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지자체들도 국가적 혼란 속에서 불안감을 그대로 느끼고 있다. 그래도 공복이라는 소명 하나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려 애쓰고 있다. 지자체마다 민생안정과 경제위기 극복에 주력하고 있다. 지금 할 일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이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다. 충북도와 도내 11개 시·군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지자체마다 매일 민생안정대책회의를 열고 있다. 시국 상황에 따른 지역사회 및 시민 일상 안정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도정의 연속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당면한 위기 극복을 위해 도민과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도정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광역지자체를 이끄는 수장으로서 시의적절한 메시지다. 그러나 국회가 증액 없이 감액만 반영된 내년도 예산안(673조3천억 원)을 통과시켰다.·예산안이 야당 단독 수정을 거쳐 본회의에서 처리된 건 초유의 일이다.·충북도는 그동안 정부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업비 증액을 노렸다. 하지만 어렵게 됐다. 오히려 깎일지도 모른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모든 게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자체는 시민의 삶과 가장 근접해 있다.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누구도보다도 잘 안다. 이들이 보내는 SOS 신호의 1차 수신자이기 때문이다. 비상상황에 재정건전성만 고수하는 건 바림직하지 않다. 융통성 있는 적절한 예산 운용이 바람직하다. 전화위복(轉禍爲福)으로 지방자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길일 수도 있다.

김 지사 등 도내 지자체장들은 이럴 때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비상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탁월한 리더십으로 지역사회의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혹한기 도민들의 삶에 든든한 버팀목이 돼야 한다. 정치적 중립을 지키며 오로지 도민의 삶에 집중하면 못할 것도 없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