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12.18 17:57:02
  • 최종수정2023.12.18 17:57:07
[충북일보] 김영환 충북지사가 또 구설에 휘말렸다. 벌써 몇 번째인지 모른다. 이번엔 부적절한 금전거래 의혹이다.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을 떠올리게 한다. 안타깝다.

***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김 지사가 즉각 해명에 나서 불법행위가 없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김 지사의 해명이 사실이든 아니든 상관없다. 김 지사는 위법을 논하기 전에 갖춰야 할 게 있다. 공직자의 행동은 최소한의 윤리의식에 기초해야 한다. 일말의 의혹 가능성이 있다면 하지 말아야 한다.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이다. 공직자가 참외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으면 참외를 훔친 게 된다. 그게 중요하다. 다시 말해 규범의식이다. 신발을 고쳐 신었지만 참외를 훔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니 한 번 다퉈보자는 식의 항변은 씁쓸하다. 공직자는 불필요한 오해를 살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오비이락도 다르지 않다. 공직이란 모두가 지켜보는 자리다. 조금이라도 의심받을 짓을 하면 안 된다. 그것만으로 이미 공직자 자격을 의심받는다.

김 지사는 충북도정을 책임지고 있는 도백이다. 그런데 김 지사를 바라보는 도민 시선이 곱지 않다. 당연하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구설 때문이다. 김 지사는 스스로 한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지사라는 이유로 어떤 혜택을 받아선 안 된다. 당연히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아야 한다. 그런 세상이 좋은 세상이다. 이번 일은 "몰랐다." "억울하다." 이런 해명이나 항변으로 끝날 일이 결코 아니다. 물론 김 지사의 말이 모두 사실이라면 다행이다. 하지만 누가 봐도 인·허가 업체로부터 돈을 빌린 건 모양새가 좋지 않다. 아무리 본인이 당당하더라도 남의 입방아에 오르내릴 일이다. 설득력 있는 해명이 있어야 한다. 물론 충북도 감사관실이 김 지사와 관련 업체 사이에 이해충돌 관련성이 없음을 확인해줬다.

하지만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김 지사의 부적절한 돈거래 의혹에 대해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14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상식적인 금전거래보다 더 큰 문제는 이해충돌 논란"이라며 "수사당국은 김 지사의 의혹에 대한 엄정한 수사를 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 지사는 오해라고 했다. 정말 오해였던 건지, 역시나 그랬던 건지는 두고 보면 드러날 일이다. 먼저 김 지사 스스로 불필요한 행동을 한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김 지사의 언행은 그동안 많은 오해를 일으켰다. 논란의 소지를 제공했다. 누구든 진정 오해를 샀다면 설득력 있는 해명과 수습을 해야 한다. 그 게 상식이다. 김 지사는 이번 기회에·'과전이하'의 교훈을 곱씹어야 할 것 같다.

*** 이제 수처작주 입처개진

김 지사의 위기 극복 동력은 도민의 신뢰뿐이다. 그리고 스스로 크게 달라지는 방법 외엔 없다. 그러나 자신의 잘못과 책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건 참 힘들다. 사회는 남의 실수에 대해 관용적이지 않다. 그러니 대부분 내 잘못이 아니라는 구실과 정황을 동원하기 바쁘다. 누군가를 희생양 삼기에 골몰한다. "내 탓이오"를 외치지 못한다.

민초들이야 그렇다 치자. 공직자는 다르다. 특히 김 지사는 달라야 한다. 도민 혈세로 일을 하는 만큼 명확히 책임져야 순리다. 책임을 피하는 건 곧 스스로 일의 주인이 아니라는 선언이다. 주인이길 포기하는 사람에게 충북을 책임져달라고 할 순 없다. 김 지사가 내로남불 지사가 안 되길 소망한다.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