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영동군은 전형적인 농업 군이다. 농촌인구 자연감소와 소멸지역으로 고민이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같은 걱정을 확 날려버릴 힐링 관광지조성은 군민들을 위한 100년 먹 거리를 준비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특히 군 개청 이래 최대 규모의 국책사업인 양수발전소사업은 군민들에게 희망을 줄만큼 가히 획기적이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박세복 군수의 뚝심과 추진력에 시너지효과까지 더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영동의 모습에 대해 살펴본다. ◇영동읍 매천리 일원 힐링 관광지 재탄생 전형적인 농업 군으로 큰 변화가 없던 영동군의 시가지가 7∼8년 전부터 조금씩 변화가 감지되며 새로운 관광도시로 탈바꿈했다. 가장 크게 변화된 모습은 이구동성 레인보우 힐링 관광지다. 레인보우 힐링 관광지는 10여 년간 삐걱거리던 영동읍 매천리 늘머니 과일랜드 부지 179만835㎡에 지역의 특화자원인 과일, 와인, 일라이트 등을 활용한 관광시설로 채워지며 중부권 최대의 힐링테마 관광지로 급부상했다. 사업비만 2천675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사업으로 선 공공부문 개발, 후 민간투자로 추진 중이다. 2017년 과일나라 테마공원 준공을 시작으로 △와인터널(201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옥천군보건소의 일부 의료장비가 내구연한이 한참 지났는데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옥천군의회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가 지난 29일 옥천군보건소 보건행정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밝혀졌다. 군 보건소가 보유하고 있는 의료장비 중 치과 진단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내구연한이 14년이나 지난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 자료에 따르면 군 보건소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는 모두 3대다. 이중 지난 2020년 4월에 신고한 진단용 엑스선 발생기 일반촬영 2대는 2020년 4월과 2011년 11월에 각각 신고했다. 그러나 치과구내 촬영용인 진단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지난 1997년 11월 1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구연한이 10년으로 볼 때 2007년에 이미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에 옥천군보건소 이원보건지소 역시 치과 진단용 엑스선 발생장치 1대도 지난 2007년 8월 신고한 것으로 내구연한이 4년이나 지났다. 한마디로 옥천군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의료기관인 옥천군보건소가 의료장비 관리체계가 허점을 보여 전반에 대한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나마 코로나19로 현재
[충북일보] "궁긍적으로는 국민들의 편익이 향상됩니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충북지역본부가 추진중인 지적재조사 사업은 '기관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토지를 이용하는 주체, 즉 국민·주민들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의 14.8%는 토지의 현황과 지적이 다른 불부합지다. 이를 최신기술로 정확히 측량해 바로잡는 게 지적재조사다. 이익기 충북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장은 지적재조사가 '땅의 가치 상승'을 이끈다고 설명한다. 이 단장은 "토지 경계를 바로잡게 되면 진입로가 없던 토지에도 이웃 간 경계 조정을 통해 도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물도 증축할 수 있게 돼 지가가 상승할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적재조사를 통해 소유권 문제가 정리되면 도시재생 뉴딜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적재조사에 대한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우선 '비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영향이 크다. 지적재조사는 주민설명회와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거쳐 진행된다.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만큼 측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이 단장은 "사업진행과 측량 등기정리 등에 있어 토지소유자가 부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