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26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가네코 후미코 얼굴사진, 잘못 알려졌다

본보가 작년 보도한 기사 知人통해 일본에 전해져
日전문가 "그 사진 잘못된 것" 최근 확인글 보내와
국내 백과사전에 실린 가네코 사진 모두 교체해야
그녀의 청주군 부강역 떠나는 장면 자서전의 백미

  • 웹출고시간2016.02.01 17:38:00
  • 최종수정2016.02.04 17:15:20

잘못 알려져 온 가네코 후미코 얼굴사진(왼쪽). 자살전 그려진 초상화 얼굴로, 이 모습이 진짜이다.

[충북일보]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는 독립운동가 박열(朴烈, 1902~1974)의 연인으로, 조선을 사랑했던 일본 여성으로 근래들어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1910년대 청주군 부용면(현 세종시 부강면) 부강에서의 7년 생활이 그녀의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 사상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그녀의 얼굴 사진은 잘못 알려져 온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인터넷에서 '가네코 후미코'를 치면 뉴스는 물론 각종 백과사전에 △눈이 크고 △가운데 가르마를 했으며 △그리고 기모노를 입은 여성 얼굴이 검색되나 이 여성은 가네코 후미코가 아닌, 동성동명의 다른 일본 여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박열의사 기념관 준공소식을 보도한 2004년 7월 23일의 '야마나시(山梨) 일일신문'도 가네코 후미코의 잘못 알려진 사진을 게재했다.

ⓒ 자료: 박열의사 기념관.
이같은 사실은 일본 야마나시(山梨)현의 가네코 후미코 연구회장인 사토 노부코(佐藤信子) 씨가 한국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기념사업회를 통해 부강면 곽창록(82, 부강향토사 연구위원) 씨에게 관련 내용을 우편으로 보내오면서 확인됐다.

앞서 <충북일보>는 지난해 8월 광복절 특집기사(8월 12일자)로 가네코 후미코를 다룬 바 있고, 같은 해 10월 19일자에서는 그녀의 가장 가까운 혈육인 가네코 타카시(金子敬·외가쪽 친조카) 씨의 부강지역 방문을 지면에 실었다.

이 가운데 10월 19일자 <충북일보>가 곽위원을 통해 일본 야마나시현으로 전해졌으나, 결과적으로 백과사진 사진을 그대로 실은 본보의 보도는 두차례 모두 '잘못 알려진 얼굴사진'을 내보낸 셈이 됐다.

사토 연구회장은 곽위원에게 보낸 글에서 가네코 후미코의 진짜 얼굴 자료는 △수감 직전 연인 박열의 품에 안겨 책을 읽는 모습의 사진 △자살 직전 그녀의 동지였던 모치츠카 가츠라가 그린 초상화 등 단 두 점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책읽는 모습의 사진은 △어떻게 중대 범죄자가 감옥 안에서 밀회를 즐길 수 있는가 △또 어떻게 사진을 찍었고, 그것은 왜 외부로 유출됐는가 등의 여론이 들끓으면서 당시 와카쓰키 내각이 총사퇴한 바 있다.

그럼에도 동성동명의 잘못 알려진 가네코 후미코 얼굴 사진이 일본 국내는 물론 한국에서도 계속 전파된 것은 1977년 일본의 잡지와 단행본들이 동명이인을 잘못 실으면서부터라고 사토 회장은 밝혔다.

실제 가네코의 마지막 초상화와 잘못 알려진 사진을 비교해 보면 전자 인물은 눈이 작고 안경을 착용한데 비해 후자는 눈이 크고 하관이 빠른 모습을 하고 있는 등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박열과 함께 찍은 가네코의 사진은 책읽는 동작에 얼굴이 반쯤 가려서 있어 세부적인 비교는 어려운 편이다.

현재 박열의 고향인 경북 문경에는 '박열의사 기념관'이 건립돼 있고, 그 내부에는 가네코 후미코에 관한 자료도 비교적 풍부하게 전시돼 있다.

그러나 이곳에 전시된 △야마나시현 일일신문(2004년 7월 23일자) △가네코 후미코 심포지엄 자료(2004년) △나시노키사의 가네코 후미코 관련 저서(2006) 등 일본 자료 모두에도 잘못 알려진 사진이 실려 있다.

곽위원은 "잘못 알려진 사진이 뒤늦게나마 확인돼 다행"이라며 "인터넷과 백과사전에 잘못 실려 있는 사진을 바로 잡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조혁연 객원대기자

가네코 후미코는

그녀는 △요코하마에서 사생아로 출생 △한국 부강(구 청주군 부용면·현 세종시)에서의 생활(1912∼1919) △박열과의 만남과 동거(1922) △관동대지진 때 치안법 위반으로 체포(1923) △천황 암살혐의 추가(1924) △옥중 자서전 집필 시작(1925) △박열과 옥중 결혼(1926) △우쓰노미야 형무소에서 목을 메 자살(1926.7) △박열 고향인 경북 문경읍 팔령리에 유골 안장(1926, 11) 등 23살의 짧은 삶을 살았다.

가네코는 옥중에서 쓴 자서전 『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에서 경부선 기차가 부강역에 진입하자 자신을 7년 동안 학대한 부강의 일본인 할머니와 고모 곁의 떠나는 심정을 이렇게 적었다.

'-아아, 기차여! 7년 전 너는 나를 속이고 데려왔다, 그리고 나를 오로지 혼자 고통과 시련 속에 남겨두고 가버렸다. 그 사이 너는 몇백번 몇천번 내 곁을 지나쳤는지 모른다. 하지만 언제나 곁눈으로 흘끗할 뿐 말없이 지나쳤구나. 하지만 이번이야말로 너는 나를 마중 와주었다. 너는 나를 잊지는 않았던 것이다, 자 어디라도 데려가다오! 어서 어서 어디라도. 그냥 빨리 이 땅에서 데려가다오!'-<〃173쪽>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