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6.0℃
  • 맑음강릉 15.8℃
  • 맑음서울 16.7℃
  • 맑음충주 18.2℃
  • 맑음서산 14.8℃
  • 맑음청주 19.9℃
  • 맑음대전 18.4℃
  • 맑음추풍령 17.4℃
  • 맑음대구 21.8℃
  • 맑음울산 14.1℃
  • 맑음광주 19.0℃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15.2℃
  • 맑음홍성(예) 15.7℃
  • 맑음제주 16.2℃
  • 맑음고산 13.9℃
  • 맑음강화 11.7℃
  • 맑음제천 17.5℃
  • 맑음보은 18.3℃
  • 맑음천안 18.5℃
  • 맑음보령 12.4℃
  • 맑음부여 16.2℃
  • 맑음금산 17.8℃
  • 맑음강진군 17.6℃
  • 맑음경주시 16.1℃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귀먹은 유수원, 영조와 붓으로 대화하다

처형당한 실학자 충주 유수원

  • 웹출고시간2015.08.27 16:07:52
  • 최종수정2015.08.27 16:07:49

조혁연 대기자

유수원이 언제부터 귓병을 앓았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그의 나일 30대 중반 무렵일 가능성이 높다. 영조는 무신란(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후 본격적인 탕평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영조는 소론의 경세가인 유수원을 경상도사, 태천(지금의 평북)현감 등에 잇따라 임명했다.

그러나 유수원은 귓병과 노모 숙환을 이유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대신 청각 상실로 인한 실의를 《우서》 저술 등으로 극복했다.

《우서》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유수원의 또 다른 저서로 《관제서승도설》(官制序陞圖說)이 있다. 관료 선발에 대한 내용을 다룬 이 책은 1741년(영조 17)에 쓰여졌다. 특히 그 내용이 탕평책과 관련돼 있으면서 영조의 즉각적인 주목을 받았다.

영조는 유수원을 경연(經筵) 에 참석하게 했다. 경연은 임금이 신하와 더불어 유교 경전이나 국정 현안을 논의하던 제도를 일컫는다. 영조와 유수원 사이에 대화가 시작됐다. 그러나 이때의 유수원은 청각을 완전히 잃은 상태로 정상적인 대화는 불가능했다. 따라서 임금이 말을 하면 배석한 신하가 한자로 써서 유수원에게 보이고, 유수원 역시 답변을 붓으로 한자를 써보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임금이 유수원을 소견하였다. 유수원은 유봉휘(柳鳳輝)의 조카로서 폐고(廢錮)된 지 이미 오래 되었으나, 우의정 조현명(趙顯命)이 그의 재주와 학문이 기용할 만하다고 추천하였으므로, 임금이 입시(入侍)하도록 명한 것이었다. 유수원이 마침내 상소하여 그가 지은 관제서승도설을 바쳤는데….'-<영조실록 17년 2월 8일자>

영조 어진(보물 제932호)

인용문의 유봉휘는 유수원 아버지의 사촌이 되는 인물로 소론의 지도자였다. 그는 연잉군(뒤에 영조)을 왕세제로 책봉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다. 또 영조의 탕평책 때는 좌·우의정 등을 역임했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의 주동자로 지목돼 결국 안흥에 유배됐고 그곳에서 죽었다.

신임사화는 소론의 무고로 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태채 등 노론 대신 4명이 처형된 사건을 말한다. 조현명은 이인좌의 난 때 소론 오명항(吳命恒)의 종사관으로 종군했던 인물이다. 그는 소론이기는 하나 비교적 온건한 주장을 펼쳐 완소로 분류된다.

필담이 시작되자 영조가 유수원에게 여러가지를 물었고, 크게 만족해 했다.

'임금이 칭찬하고 말하기를, "이 말은 옳으며 이 그림 또한 좋다. 만약 이 법과 같이 한다면 근래의 명관(名官)이 반드시 수령이 되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다." 하고, 이어서 말하기를, "대신과 더불어 묘당에서 계책을 상의한다면 반드시 도움이 많을 것이다." 하고, 비국 낭관으로 임명하도록 명하였다.'-<영조실록 31년 5월 22일자>

영조는 그 직후 인사제도를 일부 개혁했다. 그 결과, 이조전랑이 행사하던 언관의 통청권과 한천법(翰薦法)은 각각 이조판서와 재상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통청권은 이조전랑의 청요직 관리를 선발하는 권한, 한천법은 후임자를 선정해 놓고 다른 자리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영조는'원만해 편벽되지 않음은 곧 군자의 공정한 마음이고, 편벽해 원만하지 않음은 바로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이다'(周而弗比 乃君子之公心 比而弗周 寔小人之私意)라는 문구를 친히 새겨 성균관 반수교 위에 세우고 '탕평비(蕩平碑)'라 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는 오래가지 않았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