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충주 21.6℃
  • 맑음서산 19.6℃
  • 맑음청주 22.2℃
  • 맑음대전 23.5℃
  • 맑음추풍령 22.9℃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맑음홍성(예) 22.2℃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고산 17.5℃
  • 맑음강화 19.7℃
  • 맑음제천 20.2℃
  • 맑음보은 21.5℃
  • 맑음천안 21.3℃
  • 맑음보령 22.2℃
  • 맑음부여 21.8℃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임정매

시인·'함께 읽는 시' 동인

지난 1월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출근길 KTX를 타기 하기 위해 맨 먼저 승차장에 서 있었다. 바닥에 표시된 탑승 호실을 확인하고 정 중앙에 섰다. 하차하는 승객들이 불편 없이 내릴 수 있도록 안전선보다 더 여유를 두었다. 찬 기운이 몸을 움츠러들게 했지만, 예약해 둔 승차권으로 편안히 앉아서 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20여 분을 기다리는 일마저 여유로웠다. 스마트폰을 꺼내 들고 뉴스에 빠졌다.

어느 순간 오른편에 중년의 멋진 신사가 서 있는 것이 보였다. 오른팔을 펼쳐도 닿지 않을 거리다. 멀찍이 떨어져서 열차가 들어오는 방향을 보거나 서성대더니 그 자리에 계속 서 있는 거다. 겉모습이 믿음직해 보였던지 열차가 도착하기 1~2분 전쯤에는 그의 뒤로 많은 사람이 줄지어 섰다. 돌아보니 내 뒤에는 서너 명밖에 서 있지 않았다. KTX 승강문은 좁아서 한 줄로 서는 것이 암묵적 질서다. '어, 이러면 안 되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미 두 갈래의 정연함이 열차가 들어서길 기다리고 있었다.

KTX는 표시된 위치에 정확하게 멈춰서서 승강문을 열었고, 좁은 통로를 지나 한 사람씩 내렸다. 모두가 춥고 모두가 바쁘다는 걸 알기에 한 발짝 앞으로 내딛지 않고 제 자리를 지켰다. 뒤에 선 사람들 역시 그대로 서 있다. 사람들이 거의 내렸나 싶은 순간, 오른편에 서 있던 신사분께서 내 앞을 가로질러 쏜살같이 열차에 올랐다. 우려했던 상황이다. 그의 뒤에 선 사람들은 그제야 줄을 잘못 선 줄 알게 되었다. 좌표가 사라진 자리에 남은 사람들. 한동안 엉클어진 모습이었지만 내 뒤의 사람들과 어우러져 모두 탑승하였고 열차는 출발했다.

어른이 된다는 것에 막연한 불안과 슬픔을 느꼈던 적이 있다. 사춘기 때의 그 감정이 지금도 생생히 기억날 정도다. 어른의 모습이 고통으로 다가왔던 걸까. 예전에는 상투를 틀거나 쪽 찐 머리를 한 사람들, 즉 혼인 후 작게는 자신과 가정을 책임지는 역할을 시작한 사람부터 어른이라 부르며 비로소 대우하였다. 한 걸음을 뗄 때마다, 혹은 한마디의 말을 꺼낼 때마다 누군가의 깃발이 된다는 사실을 제도적 어른이 되어서야 여실히 느낀다.

탄핵정국을 지나며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을 키운 '어른 김장하 선생'의 미담이 화제다. 왜 선생에게 유독 '어른'이라는 수식어가 붙게 된 걸까. 그 삶을 보면 알 수 있다. 어른의 발자국이, 울림 있는 말씀이 결국 많은 이들의 이정표가 되었음에서다. 언행이 일치하는 어른, 문화와 교육의 중요성을 알며 공동체를 위해 나눔을 실천하는 어른, 스스로 드러내지 않으려 해도 결국은 고결한 인품이 드러나는 어른. 너도나도 잘났음을 내세우는 시대에서 닮아가야 할 진정한 어른의 모습이 아니던가.

앞에 선 대선 후보들에게 묻는다. 지금 서 있는 자리가 바른 위치인지, 뒤에 선 사람들이 더 행복한 발걸음을 세상에 내디딜 수 있도록 세세히 살피고 있는지를. 또한 바란다. 푸른 공약을 내걸고 변화의 열차에 오를 그대들, 혼란의 시대를 끝내고 화합과 안정의 시대로 이끌어 주기를. 기대한다. 끝까지 어른의 모습이기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