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10.17 19:55:33
  • 최종수정2023.10.17 19:55:33
[충북일보] 버스킹(Busking)을 활용하려는 지자체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공간의 활성화부터 도시경쟁력 제고,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다. 버스킹 장소엔 대개 대중음악을 들으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상권에도 생기가 돈다. 버스킹의 성지로 불리는 '홍대걷고싶은거리'가 대표적이다. 1년 365일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버스킹은 길거리 공연을 뜻한다. 버스킹 문화의 붐을 일으킨 건 단연 십센치(10CM)다. 2010년 단지 연습할 곳이 없어 홍대거리 길바닥에 주저앉아 연습을 시작했다. 같은 해 8월 발매한 디지털 싱글 '아메리카노'가 대박을 터뜨렸다. 버스킹의 대표주자로 이름을 알리게 된 케이스다. 이후 각종 오디션 프로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버스커버스커들이 등장했다. 최근엔 전국의 지자체들이 상권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버스킹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버스킹의 가치를 공연문화 이상으로 보고 있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청주시도 이달부터 명암유원지 일원에 버스킹 스테이지를 만들 예정이다. 주민간담회를 통해 확정된 무대안을 토대로 상설화할 방침이다. 다양한 휴게시설도 설치한다. 누구나 신청을 통해 자신의 재능을 뽐낼 수 있는 무대로 활용될 전망이다. 강릉시의 경우 '지금 여기, 강릉 버스킹 사업'을 내년 2월까지 진행한다. 지역 관광 명소를 문화 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부산시는 해외 버스킹 사업까지 벌였다. 지난 6월·19일부터·21일까지·3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버스킹을 했다. 현지인들의 뜨거운 호응과 함께 성황리에 마쳤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홍보하기 위한 버스킹이었다.

버스킹 문화는 홍대 인근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홍대거리는 곧 '버스킹의 성지'로 불렸다. 이후 지역 곳곳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서울을 넘어 부산 해운대와 광안리해수욕장, 광주 유스퀘어, 여수 해양공원 등지까지 퍼져나갔다. 버스킹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은 여러 가지 좋은 점 때문이다. 버스킹이 가지고 있는 순기능 덕이다. 버스킹은 일석삼조 이상의 효과를 낸다. 일단 관객은 공짜로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지역상권은 유동인구가 모일 수 있어 좋다. 여기에 공연의 주체인 버스커에게도 자신을 알리는 홍보 수단이다. 버스킹은 정해진 무대에서 정해진 관객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자유로운 형태로 아티스트와 관객이 직접 소통할 수 있다. 관객의 신청곡에 따라 레퍼토리도 자주 달라진다. 그날의 분위기에 따라 다른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신인이라면 자신의 공연이 관객으로부터 어떤 반응을 얻는지 볼 수 있다.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전 하는 체험 기회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나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가장 좋은 홍보 방법이다. 물론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 공연 소음은 버스킹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종종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상생을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청주의 버스킹 문화가 아름답게 자리 잡으려면 소통이 필요하다. 소통을 통해 상생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나무가 모여야 숲이 된다. 무책임한 행태는 나무를 베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결국 나무가 뽑힌 숲은 황무지가 될 수밖에 없다. 버스킹 문화는 한 그루의 나무가 아니다. 숲이 되려면 갈등의 소지를 함께 줄여나가야 한다. 청주시가 유념해야 할 대목이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