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사림 사이에 공간 헤게모니, 충북북부 사군산수

  • 웹출고시간2014.06.17 15:38:40
  • 최종수정2014.06.17 15:38:06

조혁연 대기자

'사군산수'도 의외로 정치라는 외풍을 탔다. '사군산수'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이안눌(李安訥·1571-1637)은 영남학파, 즉 동인 계열의 인물이다. 조선전기에는 김일손, 퇴계 이황 등 영남학파 문인들이 사군산수를 주로 방문하고 작품으로 남겼다.

그러나 우암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충주목사를 역임한 이후로는 호서학파, 즉 서인들이 '사군산수'의 공간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작품으로 남기게 된다.

송시열 이후 사군산수 공간에는 권상하, 김창협, 김창흡, 김윤겸, 권섭, 권신응, 김광수, 홍중선, 이병연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범서인계 인물들로, 최종적으로는 노론 낙론계 인물이 사군산수의 공간 헤게모니를 장악했다.

우암은 청풍관아의 '팔영루'(八詠樓)와 수제자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머물고 있던 '수일암'(守一菴)의 편액을 썼다. 이것이 계기가 돼 팔영루와 수일암은 서인계 문인들의 필수 답사코스로 발전했다. 특히 경기도 지역의 서인계 문인들이 남한강 수계를 이용해 사군산수를 많이 찾았다.

이는 겸재 정선(1676-1759)이 진경산수화로서 사군산수를 많이 그리는 주요 이유가 됐다. 앞서 김창협(金昌協·1651-1708)과 김창흡(金昌翕·1653-1722)의 두 형제를 언급했다. 이들은 우암 송시열을 추종했던 범서인계 인물이다.

두 형제는 영남학파와 달리 사군산수 공간은 수양이 아닌 여흥의 공간으로 인식했고, 그런 한시를 많이 남겼다.

이들은 서울 인왕산 근처에 살고 있던 화가 정선과 인간적으로 매우 친했다. 따라서 정선은 이들의 부탁을 받고 우리고장 사군산수를 소재로 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정선은 36세 때부터 74세까지 작품 활동을 하면서 총 12권의 화첩을 남겼다.

이중 3권의 화첩은 전해지지 않으나 그중 하나가 사군산수를 소재로 그렸다는 '사군첩'(四郡帖)이다. 반면 지난 2003년 정선이 사군산수를 그린 또 하나의 화첩인 '구학첩'(九壑帖)이 발견됐다.

정선 작품 '하선암도'

구학첩에는 '하선암도', '삼도담도', '봉서정도' 등 3개의 진경산수화가 들어 있다. '하선암도'의 그림 내용을 살펴보면, 반석 위에 여울을 감상하는 듯 두 사람이 않아 있고 물소리는가 시끄러운 듯 하다.

그러나 미점(米點)으로 처리된 먼산과 소나무를 통해서는 적막감이 느껴진다. 이에 대해 평론가들은 정선 친구 원경하(元景夏*1698-1761)이 지은 시를 연상케 한다고 말하고 있다. 다음은 원경하의 한시다.

'여울 소릴 돌 부딛는 소리 평정하기 어려우니 / 종일토록 산중에 콸콸 울리는 소리라네 / 다만 흰 구름 있어 그 하나 좋아할 만한 데 / 높고 푸른 소나무만 소리없이 고요하네.'

'삼도담도'는 중봉을 강조하고 양옆의 돌은 고개를 돌려 중봉을 바라보는 모습으로, 삼봉을 의인화했다. 그리고 중봉 앞에 배를 배치해 스치 듯 지나가며 관람하는 구도를 연출하고 있다.

이밖에 '봉서정도'는 필선이 매우 부르럽고 섬세한 것이 특징이다. 단양군이 이 그림을 바탕으로 봉루정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