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열 걸음에 아홉 차례를 뒤돌아 보다", 단양 단구협

  • 웹출고시간2014.06.10 13:36:06
  • 최종수정2014.06.10 13:35:28

조혁연 대기자

조선시대 단양, 청풍, 영춘, 제천 등 4개 군현의 산수는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는 뜻에서 '사군산수'(四郡山水)로 불렸다. 비교적 풍부한 수량과 기이한 석벽 그리고 계곡·강 주변의 반석 등이 수려한 자연경관을 만들고 있다. 불우했지만 자족(自足)의 마음으로 살았던 이중환도 택리지에서 '사군산수'를 비교적 자세히 서술했다.

'영춘·단양·청풍·제천 네 고을은 비록 충청도 지역이지만 사실은 한강 상류에 위치하였다. 두메 가운데 강을 따라 석벽과 반석이 많다. 그 중에도 단양이 첫째로 고을이 모두 만첩산중에 있다. 10리 되는 들판은 없으나 강과 시내, 바위와 골(동굴 지칭)의 훌륭한 경치가 있다.'-<택리지 복거총론>

문헌상 '사군산수'라는 표현은 이안눌의 '유구담'에 처음 등장한다.

문헌상 '사군산수'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인물은 이안눌(李安訥·1571-1637)이었다. 그는 1602년 충청도 경시관(京試官·일종의 시험 감독관)으로 부임했을 때 단양의 구담, 도담 등을 유람한 후 '사군산수'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의역하면 이렇다.

'사군은 산수의 본향이다. 그중에 구담의 경치가 최고인데 모나게 우뚝선 옥순봉과는 급하고 가파르게 달려 서로 잇닿아 있다. 그 아래로는 흐르는 물이 돌아나가고 거센 여울 맑으니 또한 옥이로다.'-<동악선생집 중 '호서록'>

필자의 어설픈 의역이기 때문에 원문을 실으면 다음과 같다. '四郡山水鄕。龜潭境最勝。矗立玉筍峯。奔山+肖相連亘。淙流匯其底。激湍淸且瑩.'

단양의 풍광은 종종 다섯 개의 바위와 두 개의 못이라는 뜻인 '오암이담'(五岩二潭)으로도 표현됐다. 문헌상 이 표현은 심낙수(沈樂洙·1739∼1799)라는 인물이 처음 사용했다. 그는 이렇게 썼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海山은 금강산이고 江山은 '사군'이라고 한다. 나는 지금껏 강산에 가보지 못했지만 혼자서 사군의 단양을 여행했다. 그런데 단양이 사군에서 (경치가) 으뜸이었다. 五岩으로는 사인암, 운암,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이 있고 二潭으로는 구담과 도담이 있다.'-<은파산고 중 '유단구기'>

이어지는 문장은 '강은 오대산에서 시작되어 소백산으로부터 수 백리를 거치면서 신비로움을 모아 단양의 '오암이담'에서 모두 하나의 경관이 되었는데 이것은 마치 三峽(삼협)의 빼어난 경치가 荊門(형문)에서 꽃핀 것과 같다'라고 쓰여 있다.

그러나 '사군산수'에 대한 인문지리적인 이론 정립은 보다 이른 시기부터 시작됐고, 이를 처음 시도한 인물은 김종직 제자인 김일손(金馹孫·1464∼1498)이었다.

단양 풍광의 별칭으로 '단구협'(丹丘峽)이라는 표현이 많이 쓰인다. 이때의 '단구'는 신선이 사는 곳, '협'은 협곡을 의미한다. 지금의 장회나루와 그 건너편의 구담봉이 시작 지점이 된다.

이 표현을 가장 먼저 사용한 인물이 바로 김일손이다. 그는 자신이 지은 '이요루기'(二樂樓記)에서 단구협을 이렇게 표현했다.

'내가 그 앞에서 말을 멈추었을 때 시내와 안개에 길이 아득하여 도끼자루를 썩일 듯한 생각이 떠오르곤 하였다. 이러한 절경으로서 아무런 이름이 없음을 애석하게 여겨서 비로소 단구협(丹丘峽)이라 이름하였다.(…)10리를 가면 산협이 끝나는데 마치 아름다운 아가씨와 헤어지는 듯이 열 걸음에 아홉 차례나 돌아보곤 하였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