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정희

수필가

저수지에 날아든 물새를 본 것은 햇살도 나른한 언덕바지였다. 주변의 숲과 나무가 흠씬 잠겼다. 새파랗게 고인 물과 하얀 날개가 참 잘 어울린다 했는데 녀석이 돌연 길을 틔우지 않는가. 양쪽 날개를 착 붙이고는 얼음 위의 조롱박처럼 미끄러지더니 순식간에 100m 저쪽으로 날아가 버렸다.

망연히 바라보다가 아뿔싸, 그만 놓쳐 버렸다. 아쉬운 마음도 잠시 뒤따라 푸른 하늘이 다가온다. 물속에 비친 하늘에서도 날아갔을 텐데 허공에 길이 생길 동안 없어진 거다. 자맥질은 할지언정 필요한 것만 탐하면서 두 개의 하늘을 넓혀가는 새.

물새가 지나간 길은 그 새 보이지 않는다. 가르마처럼 뻗은 길에 물결만 찰랑이는데 또 다른 물새가 날아든다. 잠시 전의 그 물새인지 암튼 푸른 물결에 새하얀 물새가 한 폭 그림으로 새겨진다. 다섯 살 어린 시인이 누가 저 물 위에 새 을(乙) 자를 썼느냐'고 했다지. 이맘때면 풍경만치나 아름다운 글귀가 생각나곤 했다.

무엇보다 활주를 시도하는 모습이 별나다. 활주로도 없는 저수지에서 어쩜 그렇게 능숙한지 모른다. 자맥질과 날갯짓을 겸하기 때문에 활주는 물론 어디서나 수직이착륙도 가능했다. 여타 새라면 하늘로만 날아오를 뿐 물속에 뛰어들지는 못한다. 특별할 때만 펼치는 고도의 비행술이지만 그래서 더 힘들었겠다. 물갈퀴와 날개를 동시에 갖고 태어났으니….

산새가 물정 모르는 철부지라면 물새는 산전수전 다 겪었다. 풀씨를 쪼아 먹다가 내키면 노래 부르고 투정이나 하듯 잠드는 산새도 예쁘지만, 자맥질로 푸르러지는 물새의 하늘도 괜찮다. 자맥질을 모르는 산새도 나름 고충은 있겠지만 하늘과 물을 동시에 생존 무대로 삼는 물새가 더 끌린다. 자맥질 도중에 날아간 것을 보면 먹이를 찾는 중이었기 때문에.

물새를 생각하면 날갯짓보다 자맥질이 먼저 생각났다. 날개 밑에 물갈퀴가 있는 줄 상상이나 했을까. 우리 하늘을 동경하듯 물새의 꿈도 하늘이었다. 얼마나 풍경이면 철부지 어린애의 시심을 자극했다. 물새의 하늘이 푸른 것도 자맥질과 날갯짓 때문이려니.

꿈을 생각하면 날개가 떠오르고 현실을 생각하면 물갈퀴가 친근해진다. 물새가, 자맥질을 하면서도 물결에 일렁이는 하늘을 보듯이 힘들수록 소망은 있다. 자맥질 끝이라서 하늘이 멋져 보이듯 힘들 때 운치 또한 고풍스럽다. 날개와 물갈퀴는 분리될 수 없고 꿈과 현실도 함께 가야 하지만 올라갈수록 푸른 하늘을 생각하면 참아야 하리.

힘들 때도 날개 밑에 감춰진 자맥질을 생각했으리. 자맥질이 아니면 가라앉지만, 이상만 추구해도 힘들어지는 날개와 물갈퀴의 이중성을 본다. 길을 틔우던 물새와 새 을(乙)자 어쩌구 했던 시인도 자기만의 아취에 젖어 산 폭이다. 자맥질로 더욱 푸르렀던 물새의 하늘처럼.

날개와 물갈퀴를 동시에 갖고 태어나는 고뇌도 보통은 아니다. 물새를 보면 거의 자맥질 중이었건만 가든한 날개를 보면 숙명이었다. 우리가 무게에 눌리는 건 몰라도 날개가 생명인 그들에게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상하게 물새가 좋았다. 자맥질을 멈추면 죽을 수밖에 없지만, 자맥질이 아니면 무의미한 날갯짓은 어떻게 설명해야 될는지.

이후 나는 그때처럼 길을 틔우는 물새는 보지 못했다. 가끔 눈에 띄기는 해도 물수제비나 뜨는 것처럼 담방담방 여울을 건널 때처럼은 아니다. 왜 그때 본 물새만 고집이냐고 하겠지만 느낌이 달랐다. 운명은 힘들지만 꿈은 아름다웠다. 나도 물새의 체질을 닮았나 보다. 날갯짓은 눈부시지만, 자맥질은 감동이었던 것처럼.

어느새 해거름이다. 물새도 둥지를 찾아가는 그 시간, 참 고상하게 보이던 풍경이 잊히지 않을 것 같다. 자맥질 열 번에 날갯짓 한 번이면 최소한의 무게로 삶을 저울질하는 물새의 운치도 배울 수 있으려니. 이상을 꿈꿀 동안도 하늘은 높아지고 그게 하늘보다 푸른 소망이라고 최면을 걸어본다. 자맥질에 단련된 삶을 추구하면서….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