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장밋빛 미래 펼쳐지나"…핵심 현안, 대선공약 확정

김문수 후보 충북 공약 발표…민간 활주로 신설·중부내륙특별법 개정 등
청주시가 공을 들이는 특례시 지정, 청주교도소 이전도 약속해 눈길
이재명 후보 이번 주 공개 예정…경선 과정서 밝힌 현안 대거 포함될 듯

2025.05.18 16:28:28

[충북일보]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가 10여 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선 후보들의 충북 지역 공약이 확정되거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국민의힘은 행정수도 이전 등 충청권과 4개 시·도별 공약을 내놓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밝힌 것과 지역 현안을 종합해 조만간 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선 공약에 반영되면 선거 후 새 정부가 선정하는 '국정 과제'에 포함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큰 만큼 실현 여부가 주목된다.

18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지난 16일 충청권이 균형발전의 핵심축이자 미래산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설계한 김 후보의 대선 공약을 공개했다.

세부적으로 지역의 성장 동력을 살리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뒀다. 이 중 충북 공약은 충북도가 대선 과제로 건의한 핵심 현안이 대거 반영됐다.

먼저 도가 사활을 걸고 있는 청주국제공항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이다. 김 후보는 새 활주로를 건설해 수도권 대체 공항의 기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전면 개정도 약속했다.

특별법 제정 후 실질적인 규제 완화 조항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만큼 특례 조항을 대폭 확대하고, 환경영향평가 등 규제를 합리화해 균형발전을 이끌겠다고 했다.

국내 바이오 중심지인 청주 오송을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데 핵심 시설인 'K-바이오 스퀘어' 조성과 대전 반석∼세종청사∼오송∼조치원∼청주도심∼청주공항을 잇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건설을 조속히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충북도가 건의한 대선 과제에 빠진 청주시 특례시 지정과 청주교도소 이전도 공약에 담아 눈길을 끈다.

특례시는 시가 공을 들이는 현안 사업이다. 김 후보는 비수도권 특례시 지정을 위해 지방행정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극복 방안도 세워 추진하기로 했다.

이 밖에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을 위한 철도·도로망 확충, 종합스포츠 콤플렉스 조성 등 생활 인프라 개선 및 정비, 의료 인프라 확충으로 격차 해소, 복합휴양 시설과 관광지 조성, 농지·대청호 환경 규제 완화,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등도 공약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주 발표가 예상되는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약에 충북 현안이 상당수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그가 경선 과정에서 언급한 내용 대부분이 지역 현안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향후 숙원 사업 해결과 충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앞서 이 후보는 충북 핵심 현안으로 꼽히는 청주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 오송 K-바이오 스퀘어 조기 조성, 충청권 광역급행철 조속 추진 등을 약속했다.

이차전지·반도체 분야는 연구개발(R&D)과 인력양성 인프라를 강화해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고 했다.

충남 서산~천안~청주~경북 울진을 잇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조기 확정하고, 충북선·호남선 고속화를 서둘러 X자형 강호축 철도망을 완성하겠다고 공약했다.

행정수도와 관련해 세종시를 중심으로 완성하고,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해 충북혁신도시를 중부내륙 성장거점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충북 내륙은 휴양·힐링 관광벨트로 발전시키겠다는 방안도 제안했다. 미호강 수질을 개선하면서 청주∼증평∼진천∼음성으로 이어지는 관광 휴양지 조성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 조성도 약속했다.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는 "주요 정당의 대선 공약에 충북 지역의 오랜 숙원이자 현안 사업이 확정됐거나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약에 반영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정성 있는 추진이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선특별취재팀 / 천영준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