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현안 해결 기대감 커져"…이재명·김문수 후보 공약 반영

2025.05.13 18:06:43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선거운동 이틀째인 13일 청주시내 일원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원(왼쪽)과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선거운동원들이 후보자들의 홍보 피켓을 들고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김용수기자
[충북일보]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충북 주요 정당들의 민심 잡기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각 정당은 지지층과 함께 부동층 공략에 나서는 한편 대선 후보들은 지역 공약을 내놓으며 정책 대결에 나섰다.

13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따르면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바이오와 첨단산업의 도시'를 비전으로 충북 핵심 공약을 제시했다.

두 후보의 공약을 면밀히 살펴보면 중복되는 게 많다. 충북이 건의한 현안이 최대한 반영된 것이며 향후 숙원 사업 해결과 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과 오송 K-바이오 스퀘어 조기 조성,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조속 추진 등에 한목소리를 냈다.

청주공항은 지난해 여객 457만9천여 명, 화물 2만8천 여t의 항공운송 실적을 기록했다. 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제주, 김포, 김해에 이어 네 번째로 400만 명을 돌파하며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민군 복합공항이라는 한계로 운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충북도와 지역 민·관·정은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을 지속해서 건의 중이다.

정부가 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반영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사업인 만큼 지역 사회는 유력 후보의 주요 공약에 반영된 것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청주 오송을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데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는 K-바이오 스퀘어 조성과 2034년 개통을 목표로 대전 반석∼세종청사∼오송∼조치원∼청주도심∼청주국제공항(60.8㎞)을 잇는 사업도 두 후보가 조속한 추진을 약속하면서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다만 두 후보는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소멸 대응 방안으로 내놓은 공약 중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후보는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해 충북혁신도시를 중부내륙 성장거점으로 키우겠다고 공약했다.

충북 내륙은 휴양·힐링 관광벨트로 발전시키겠다는 방안도 제안했다. 미호강의 수질을 개선하면서 청주∼증평∼진천∼음성으로 이어지는 관광 휴양지 조성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 조성도 약속했다.

반면 김 후보는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전면 개정을 내세웠다.

특별법은 그동안 각종 개발 정책에서 제외돼 불이익을 받아온 중부내륙지역 8개 시·도의 발전과 권리 회복, 각종 규제 완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규제 특례, 대형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실질적인 규제 완화 조항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도는 전면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 법에 특례 조항을 대폭 확대하고 환경영향평가·산지 관리 등 규제를 합리화해 균형발전을 이끌겠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는 충북도가 확정한 대선 공약 건의사업에 빠진 청주시 특례시 지정도 약속해 눈길을 끈다.

비수도권 특례시 지정을 위한 지방행정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행정안전부와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극복 이행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는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공약에 충북의 오랜 숙원이자 미래 비전이 담긴 것으로 평가된다"며 "공약을 진정성 있게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대선특별취재팀 / 천영준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