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옥천] 옥천군 옥천읍 장야리 장야사거리가 작은 비에도 상습침수지역으로 변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1일과 2일에 내린 장맛비가 83·4mm와 22·4mm로 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모 마트 앞 우수 관로가 좁아서인지 물이 역류되면서 장야사거리까지 흘러내려 침수됐다. 이 때문에 횡단보도로 우수가 품어져 나오고 인도에도 빗물이 고여 침하현상을 보이며 모 자동차 매장 건물 지하까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1일과 2일에도 18·mm의 집중호우로 이 곳이 침수됐고 지난해 장마 때도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비만 오면 이 같은 일이 발생하자 보다 못한 피해주민이 옥천군에 민원을 내는 등 침수대책을 호소했으나 뚜렷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옥천읍 건설팀은 2일 오전부터 원인을 찾기 위해 장비를 동원, 문제 지점을 굴착해 긴급점검을 벌이고 있다. 주만들은 장마가 이달 말까지 지속되고 태풍까지 올라오는 상황에서 불안하고 걱정이 앞서고 있다. 주민 A모(58·옥천읍 장야리) 씨는 "적은 비에도 빗물이 역류되면서 건물지하가 잠기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충북은 북쪽으로 소백산맥이 뻗어 있고 남쪽으로는 속리산이 넓게 드리워 있다. 소백산과 속리산이 남쪽과 북쪽을 굳건하게 지키며 섰고, 그 중앙에 음성군과 진천군이 알토란처럼 자리잡았다. 아기자기한 작은 산과 평야에 가까운 들을 가진 덕에 잔잔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은 여럿 있지만, 타 지역에 비해 산수를 즐기기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각각의 저마다의 특색을 살려 관광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음성군에는 웰촌(http://www.welchon.com)에 등록된 농촌체험휴양마을이 한 곳도 없다. 농촌테마공원은 1곳, 자연휴양림은 2곳이 각각 이름을 올렸다. 진천군에는 농촌체험휴양마을 2곳, 농촌테마공원 1곳, 자연휴양림 1곳이 등록됐다. ◇음성군 원남테마공원(음성군 원남면 조촌리·043-871-3923)은 원남저수지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관광자원화 한 자연친화적인 휴식, 레저, 체험공간이다. 수도권 일대에서 1시간이면 접근이 가능해 주말을 활용한 가족단위 방문객에게 최적의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금강 상류인 원남저수지 주변의 사시사철 수려한 자연경관과, 온 가족이 함께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레저
[충북일보] 1차 산업인 농업은 충북의 경제의 근간으로서 오랜 시간 지위를 공고히 했다. 하지만 산업화, 정보화 등 격변하는 세태와 맞물려 농업은 설 자리를 잃었고, 그 자리를 제조, 관광, 서비스업 등 2~3차 산업이 점령하게 됐다. 농업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대다. 단순히 땅과 인력, 4계절 자연환경에 기대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충북농업기술원은 1~3차 산업을 망라한 '6차 산업'으로서의 농업을 꽃피우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차선세 충북농업기술원장은 지난 2015년 8월 부임해 2년 가까이 신품종 개발과 확산 등 충북농업의 선진화를 위해 힘썼다. 차 원장을 만나 그간 충북농업기술원이 진행해 온 농업선진화 사업과, 향후 진행 예정인 사업에 대해 들어봤다. ◇지난해 사업 성과와 올해 신규 사업은 "충북농업기술원의 지난해 투입된 사업비 규모는 총 445억 원으로, 충북 농업의 기술과 농업인들의 소득 향상에 기여했다. 주요 성과는 약용작물 중 잔대 '하랑'을 신품종 등록했으며 수박 등 6건에 대한 품종도 출원했다. 또한 '갈색거저리 유충함유 스프레드 제조방법' 등 7건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고, '하우스형 접이식 농작물 건조대' 등 16건에 대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