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국립청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새단장'

'문화재 속 놀이와 음식 이야기'로 재미를 더하다

  • 웹출고시간2014.12.21 16:46:50
  • 최종수정2014.12.21 16:46:50
새 단장한 어린이박물관이 23일 청주시민에게 선보인다.

국립청주박물관은'문화재 속 놀이와 음식 이야기'를 주제로 어린이박물관을 다시 꾸며 23일부터 본격적으로 공개한다.

'놀이'와'음식'이라는 친근한 주제로 체험과 놀이를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놀이와 음식을 문화재와 연계해 학교 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나아가 박물관 교육의 특징을 살렸다.

◇과학·수학·예술과 접목한 문화재 이해

국립청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프로그램 '나는 씨름왕'

씨름, 그네타기, 널뛰기 등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는 놀이형 전시 체험물로 구성해 원심력, 복원력, 진자운동, 지레의 원리 등 과학의 원리를 직접 체험하며 배울 수 있다.

그리고'음식 퍼즐 맞추기', '나는 꼬마 화가' 등의 다양한 체험형 디지털 기기를 설치해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수학과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음식 코너는 우리나라 문화재 뿐 아니라 세계의 유명 화가들이 그린 명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 재료를 찾아 여러 나라의 음식문화를 알아볼 수 있다.

◇디스커버리 상자[교구 상자]를 이용한 문화재 이해

디스커버리 상자는 어린이들이 문화재를 관찰하고 탐구하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표현 등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이 상자들은 우리나라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로 꾸며진'놀이 이야기'와 현대 거실의 느낌을 살린'음식 이야기'코너에 준비돼 있다.

각 상자마다 주제가 정해져 있으며 어린이들이 관심 있는 상자를 꺼내어 놀이마당에서 개인, 가족, 친구들과 함께 놀이로 즐기고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내용은'윷놀이', '공기놀이', '제기차기', '바다의 보물, 조개', '문화재 속 놀이·음식 감상 앨범'등이 준비되어 있다.

이번 개편을 담당한 이민수 학예연구사는"금년도 어린이박물관 개편으로 문화재 속의 '금속', '놀이', '음식'을 과학, 수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와 접목시켜 어린이들이 문화재를 이해하는 시각을 넓히고, 또 박물관을 재미있고 신나는 장소로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면서 많은 관심을 가져 주기를 부탁했다.

'문화재 속 놀이와 음식 이야기'는 영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의 눈높이에 맞도록 했다.

전시실 설명을 매일 각 6회 진행한다. 단체 관람은 평일(화요일∼금요일/휴일제외)에 사전에 예약해야 한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단체 관람을 할 수 없다. 관람 방법 및 예약은 국립청주박물관 홈페이지(http://cheongju.museu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윤기윤기자 jawoon62@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