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흔들리는 충북인구 '160만 시대' - 인구 현주소와 자구책

청주시 인구 유출 가속화…충북, 3개월째 하락세
지난해 11월 기점 감소…진천·음성 제외 전 지역 위태
일자리 창출·전입 인센티브 몰두…대안으로 '역부족'

  • 웹출고시간2015.03.17 19:17:56
  • 최종수정2015.03.18 19:04:02

편집자

'영·충·호 시대'란 영남, 충청, 호남을 일컫는 새로운 용어다. 충청도 인구가 호남 인구를 앞지른 지난해 처음으로 등장했다. 한반도의 중심인데도 그동안 변방으로 취급받아온 충청도가 위상을 재정립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원년 충북도는 '160만 시대'를 주창하며 대외적인 도세(勢) 강화에 나섰다. '영·충·호', '160만 시대'라는 용어의 창시자인 이시종 충북지사가 전국 시·도지사협의회장에 선출되며 충북의 입지를 다지기도 했다. 이렇듯 신수도권의 중심으로 급부상한 충북이 최근 삐걱거리고 있다. 경쟁력의 토대인 인구가 감소세에 접어든 것이다. 본보는 충북 인구의 현주소와 향후 대응책에 대해 총 4회에 걸쳐 집중 진단해 본다.

지난해 7월 출범한 통합청주시는 충북 경제의 구심점이자 제1의 추진동력으로 크게 주목받았다. 인근 세종시와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며 동반성장을 기대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서서히 경쟁력을 잃어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보은·옥천·영동(남부3군)은 국회의원 독립 선거구마저 위태로운 지경이다. 충북혁신도시 조성으로 진천과 음성지역은 인구면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는 반면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손쓸 틈도 없이 인구 유출에 허덕이고 있다.

◇충북 인구 만년 중하위…3개월 연속 하락세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충북의 인구는 11위 수준이다.

지난 2월 기준(외국인 제외) 경기도가 1천237만6천9434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이 1천10만5천206명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어 △부산 351만7천939명 △경남 335만1천137명 △인천 290만6천603명 △경북 269만8천469명 △대구 249만2천583명 △충남 206만2천924명 △전남 190만3천220명 △전북 187만728명 △충북 157만8천253명 △강원 154만2천918명 △대전 152만 9천431명 △광주 147만7천340명 △울산 116만7천385명 △제주 60만9천612명 △세종 16만9천762명 순이다.

충북의 인구는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계속 줄기 시작했다. '160만 시대' 원년의 채 1년도 채우지 못하고 인구 하락국면을 맞은 것이다. 당시 157만9천037명이었던 인구는 158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고배를 마셨다. 12월에 104명이 감소한 157만8천933명으로 집계됐다.

반등은 없었다. 올해 1월 157만8천531명으로 402명이 줄어든데 이어 2월에도 278명이 감소한 157만8천253명으로 조사됐다. 3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진 셈이다.

◇지자체, 인구늘리기 안간힘

도를 비롯해 도내 각 시·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출산 장려를 위한 각종 시책은 물론 기업체 유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가시적인 성과나 기대는 크지 않은게 현실이다. 다양한 전입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일시적인 효과는 볼 수 있을지 몰라도 인구감소현상을 극복하는 근본적인 대안으로 삼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인구 집중 완화 기조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교육·주거 여건 개선과 함께 경력 단절 여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

귀농·귀촌에 대한 차별화 전략은 도농복합도시로 각광받는 충북의 입장에서 필수 조건이 됐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제적인 전략도 고려해볼 시기다. 이미 지역사회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다문화타운' 조성 등에 대한 필요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