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수필가·공인중개사

2022년 8월 15일, 대한민국 광복 77주년이 되는 해이다. 아침 일찍 경건한 마음으로 태극기를 게양대에 꽂으며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자, 분연히 일어섰던 순국선열들을 기리며 "대한민국" 독립을 외치던 숭고한 희생과 얼을 다시 생각해 보았다. 중학교 때인가 단체 관람했던 영화 속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일경(日警)의 끔찍한 만행 앞에서도 절대 굴하지 않던 독립투사들의 우렁찬 함성과 양손에 잡은 태극기를 힘차게 흔들던 모습이 눈앞에 어른거렸다. 특집방송으로 방영된 '군함도'를 보면서는 익히 알고 있었던 내용이었음에도 새삼 울분이 끓어올랐다.

독립 운동이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이 직, 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되돌려 받거나, 스스로의 자립을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라고 한다. 독립운동가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신채호 김구 안중근 유관순 등이 있지만, 우리지역 옥산에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 정순만이 있다. 독립 운동가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만주 지역까지 활약하였다. 민족 지도자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서 만주와 간도 연해주 등지를 떠돌며 옮겨 다녔다. 아시아 대륙 동쪽에 있는 한반도인 우리나라를 주변의 열강들은 끊임없이 침략했다. 1910년에는 일본에게 강제 합병 되었는데 이때 청주지역의 대표적인 인물 정순만이 있었다.

정순만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조직에 가담하였고, 이승만 박용만과 함께 3만으로 불리며 독립운동 당시부터 크게 활약한 인물이지만 고향에서 조차 그의 행적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정순만은(1873-1911)년 청주시 옥산면 덕촌리(하동정씨 집성촌)에서 부친 정석종과 밀양박씨 사이에 태어났다. 1895년 을미사변(일본 자객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사건)이 일어나자 충북, 경북, 강원도 등을 다니며 의병을 모집하고 국권회복을 위하여 노력했다. 정순만은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되자 각도 청년회대표를 소집한다. 을사오적 (권중현,박제순,이지용,이완용,이근택 )을 암살하기 위해서 평안도 장사 수십명을 모았으나 일제의 감시로 실패하고 말았다. 한봉수(내수) 정춘수와 정미의병에도 참여했다.(정미의병: 1907년 고종이 강제퇴위 되고 군대마저 해산 당한다.) 이상설등과 헤이그 특사를 배웅 한 후,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착하였다.

1908년 2월경 '해조신문'의 창간에 주도적으로 참여 했고 이신문을 통해 항일 논조와 민족의식을 고취 하였다. 이후 '대동공보'의 주필을 맡았고 주요 인사들과 안중근 의거를 계획하는데 참여한다. 쓰러져 가는 조국을 세워 보려고 죽음도 불사했던 독립 운동가들, 이를 기록하여 기념하고자 2019년 12월 정순만의 고향 덕촌리에 '독립운동가 마을'이 들어섰다. 또,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청주시 1호 마을 아카이브(기록 보관소) 사업으로 조성되기도 했으며 선생의 활동사외 일제 강점기에서 민족정신을 일깨웠던 덕신학교가 있다. 덕신학교는 정씨 문중 어른들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설립 되었는데, 설립110년 만인 2016년 그들의 일념을 담아 복원 되었다. 청주의 독립운동사를 기억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나라를 되찾고자 했던 독립 운동가들은 가족이나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자들이 여럿 있는데 정순만도 아들 정양필과 며느리 이화숙 등이 가족이다. 정부에서는 1986년 애국지사 정순만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1995년에는 아들 정양필(1893-1974)과 며느리 이화숙(1893-1978)선생에게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우리지역 옥산에 이런 훌륭한 민족운동가 가 있었다는 것은 큰 자랑이다. 돌이켜 생각하고 싶지 않은 아픈 역사이지만, 또한 꼭 알아야 할 우리의 역사이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