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10.10 16:21:46
  • 최종수정2013.10.10 16:21:46

조혁연 대기자

고려 공민왕은 홍건적의 침입을 당하자 복주(지금의 경북 안동)로 몽진을 갔다가 귀로에 청주에 비교적 오랫동안 머물게 된다. 이때가 공민왕 재위 11년인 1361년이다.

임금이 궁궐 안에 있으면 먼지를 뒤집어 쓸 일이 별로 없다. 그러나 피난을 위해 궁궐을 나서면 먼지를 뒤집어 쓸 수밖에 없다. 바로 '몽진'(蒙塵)은 먼지를 뒤집어 썼다는 뜻으로, 그 자체로 난세를 의미하고 있다.

공민왕은 임시수도인 청주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지자 과거시험을 실시, 그 합격자 명단을 취경루(지금의 망선루)에 붙이도록 했다. 그리고 지금의 청주 무심천 변에 있는 '공북루'(拱北樓)라는 큰 누각에 올라 호종한 신하들에게 시를 짓게 했다.

이날 시짓기에 참여한 대신은 모두 26명이었다. 그러나 조선 중종 때 사료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당시 공북루에는 총 28편의 시편액이 걸려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그날 공북루에서 지은 26편의 시 외에 1편은 그전부터 걸려 있었고, 또 다른 1편은 개성에서 보내온 백문보(白文寶?·∼1374)시였다. 즉 '26+1+1'인 셈이다.

1444년 봄, 세종대왕이 우리고장 초정약수를 찾았을 때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방문중, 신숙주, 박팽년, 류의손, 이개, 최항, 황수신, 안평대군 등 당시 세종대왕을 호종했던 신하와 대군들은 초정약수를 소재로 한 시를 개인문집 등에 남겼다.

하연의 영정.

그러나 그해 세종대왕을 따라오지 못하고 조정에 남아 있던 대신들 중 일부도 초정약수를 소재로 한 시를 지어, 초수리로 내려보냈다. 그 시에서는 부러움이 잔뜩 묻어나고 있다. 상황상 조정에 남아 있을 수 밖에 없었던 당시 좌찬성 하연(河演·1376∼1453)도 그중의 한 명이었다.

좌찬성은 3정승(의정부)을 보좌하던 벼슬이나 그 지위가 종1품에 해당할 정도로 고위직이다. 이때 지어진 7언시 2절의 시가 '原韻詩'(원음시)라는 제목으로 그의 문집인 경재집(敬齋集)에 실여 있다.

'경사스러운 여러 복이 하늘에서 마땅히 온 조짐은(諸福嘉祥應自天) / 역사에 전해오는 말에서 진실로 증명되었도다(史中傳語固懸懸) / 예로부터 조선의 서원이라는 땅에서(朝鮮上古西原地) / 오늘 분명히 좋은 샘을 발견하였다(今日分明見醴泉)'-<경재집>

이어지는 내용의 끝에는 이런저런 사정으로 초수리까지 함께 따라가지 못한 것에 대한 부러움과 탄식이 배여있다.

'연화(煙花)에 3월 봄이 되었는데 동남쪽 하늘(煙花三月艶陽天) / 빈 성에 주막을 알리는 깃발만 달려있는 것을 보았노라(惟見空城酒O懸) / 임금님을 수행한 그 영광을 부러워하였는데(扈從龍光堪企羨) / 들으니 자네들도 그 영험한 샘물을 마시겠구나.(更聞諸子飮靈泉)'-<〃>

'연화'는 아지랑이 오르고 꽃이 피는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를 일컫는 말이다. 전회에 신숙주도 '숙소로 돌아와 식사하고 나서 때때로 머리 돌려 먼 곳 바라보니 / 복숭아꽃 오얏꽃 핀 건너 마을 깨끗하기도 하네'(보한재집)라고 1444년 초정약수 주변의 봄풍경을 읊은 바 있다.

하연은 한 때 조선시대 토지세법의 근간이 되는,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연분9등법과 전분6등법의 실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곧 다루겠지만 두 법이 실험되어진 땅은 초정약수 옆의 우리고장 '청안현'이었다. 초정약수에서 고개 하나 쯤을 넘으면 청안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