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보상 갈등 장기화 조짐

청원 주민-충북개발공사 이견 못좁혀

  • 웹출고시간2011.10.25 19:16:18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청원군 강외면 정중리 일원 주민들과 충북개발공사 간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보상 문제를 놓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갈등을 빚고 있다.

25일 오송 주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보상대책협의회가 구성돼 그동안 5차례 논의가 진행됐지만 주민 요구사항 11가지 중 뚜렷한 보상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사업 시행사인 충북개발공사의 현실성 있는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충북개발공사는 주민들이 요구하는 방식의 보상은 어렵다고 맞서고 있어 오송2산단 조성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민대책위원회는 이달말까지 공사 측이 납득할 만한 보상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면 다음달 1일 군청에서 보상대책협의회를 갖고 이때도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16일까지 도청 앞에서 장기 집회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신하균 대책위원장은 "개발공사 등과 주민 요구사항에 대한 협의를 여러차례 가졌지만 별다른 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다"며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축산폐업보상 문제가 이번 협의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장기간 농성에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개발공사측은 그러나 축산폐업보상 문제를 주민들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이행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공사는 해당 자치단체와 인근 주민 반대 등 축산폐업보상이 이뤄질 수 있는 절차상 법적 요건을 갖출 경우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고 절차가 생략된 폐업보상은 불가능하다는 방침이다.

개발공사 보상사업소 관계자는 "무조건 축산폐업보상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법적 요건에 맞춘다면 당연히 해 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그는 또 "보상 관련 협상이 지연되면 산업단지분양가 상승과 경쟁력 저하 등 주민들에게도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며 "협상과정을 거치면 상당수 주민들이 협상 쪽으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강외면 정중리 일원 333만1천701㎡ 규모로 조성되는 오송제2단지는 지난해 12월부터 토지·지장물에 대한 조사가 시작됐지만 보상 현실화를 요구하는 주민 반발로 사업이 주춤해 있는 상태다.

청원 / 조항원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