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귀농귀촌 전성시대 '빛과 그림자' - 충북 3만명 돌파

최근 3년간 큰 폭 증가
지난해 5천400여 가구 농촌행…전국 2위 수준
'수도권과 인접·수려한 자연 경관' 도시민 선호

  • 웹출고시간2015.04.02 20:10:17
  • 최종수정2015.04.08 15:35:38

편집자 주

도시민들의 농촌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1년 동안 귀농·귀촌한 가구만 무려 4만 가구가 넘는다. 전년보다 1만 가구 이상 늘어났다. 노후를 준비하는 50~60대 뿐만 아니라 20~30대 청년들의 새로운 보금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충북도 귀농·귀촌 인구 3만명 시대를 개막했다. 원주민들과 융화돼 윤택한 삶을 살고 있는 귀농·귀촌자가 있는가 하면 왕래조차 꺼리는 주민들도 있다. 다양한 소통 채널과 정착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본보는 도내 귀농·귀촌의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총 4회에 걸쳐 조명해 본다.
농촌에 둥지를 트는 도시민들이 늘고 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무려 4만4천586가구(8만855명)이 귀농 혹은 귀촌했다. 3만2천424가구(5만6천267명)가 귀농·귀촌한 지난 2013년보다 37.5%나 증가한 규모다.

귀촌가구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귀농가구가 지난 2013년 1만923가구에서 지난해 1만1천144가구로 211가구(2.0%) 증가한 반면, 귀촌가구는 2013년 2만1천501가구에서 지난해 3만3천442가구로 1년 동안 1만1천941가구(55.5%)가 증가했다.

특히 충북이 귀농·귀촌의 최적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동안 충북의 농촌지역에 정착한 도시민 가구는 모두 1만6천989가구다. 귀농·귀촌 인구만 3만명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청주(옛 청원 포함) 1천715가구(3천757명) △충주 1천781가구(3천231명) △제천 942가구(1천627명) △보은 1천795가구(2천990명) △옥천 1천451가구(2천731명) △영동 2천687가구(4천633명) △증평 411가구(830명) △진천 1천715가구(2천870명) △괴산 1천170가구(2천349명) △음성 2천86가구(3천204명) △단양 1천236가구(2천107명) 등이다.

최근 3년 동안 귀농·귀촌 가구가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 2011년 이전까지 귀농·귀촌한 가구가 2천397가구에 그친 반면 2012~2014년 3년 동안 귀농·귀촌한 가구는 1만4천592가구에 달한다.

지난해 1년 동안에만 모두 5천442가구가 농촌행을 선택했다. 이 중 귀촌가구는 4천238가구다. 전국 귀촌가구(3만3천442가구)의 12.7%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경기도(1만149가구·30.3%) 다음의 전국 2위 수준이다.

이처럼 귀농·귀촌가구가 충북을 선호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인접한 지리적 여건, 수려한 자연 경관, 적은 환경오염 등이 꼽히고 있다.

수도권과의 거리가 1시간 안팎으로 비교적 짧아 기존의 도시생활을 아예 배제한 채 살지 않아도 된다. 과거 인간관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전원생활을 누릴 수 있다.

'힐링'의 장소로도 적격이다. 월악산, 소백산, 속리산 등 전국 내로라하는 천혜의 자연 환경이 즐비한 점도 도시민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나면서 각종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도시민과 원주민 간 정서적 차이로 얼굴을 붉히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농촌 생활에 부담을 갖고 다시 도시로 떠나는 귀농·귀촌인도 비일비재하다.

도시민들에게는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고, 원주민들에게는 외지인을 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