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1.24 17:33:24
  • 최종수정2018.01.24 17:33:24

주차장에서 바라 본 농다리와 주변 모습

[충북일보] 작년 여름 충북지역에 쏟아진 폭우로 진천 농다리의 일부가 훼손되었다는 뉴스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간 보수가 되었는지도 궁금하고 눈 덮인 겨울 풍광의 농다리는 어떤 모습일지 보고 싶어 다녀왔다.

눈 덮인 농다리 풍경이 마치 선계에 들어서는 느낌이다. 봄이나 여름에 보는 것과는 다른 멋이 있어 보는 즐거움을 준다. 특히나 이렇게 눈 덮인 농다리 모습은 상산팔경 중의 하나로 꼽힐 만큼 절경이기도 하다.

농암모설(籠岩暮雪)

瓢謠殘雪暮山岩 농암에 남은 눈 먼 산에 번득이는데

指点孤岩暗淡中 고암은 암담한 속에서 점을 찍은 듯

耳聾不聞人世事 귀먹은 양 진세의 모든 일을 듣지 않으려고

眼前奇賞屬山翁 눈앞에 비치는 좋은 경관 산옹에게 맡겼네

-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 -

위쪽 징검다리에서 바라본 농다리

눈 덮인 농다리의 풍경을 노래한 한시로 아름다운 농다리 주변의 모습을 시로 그려내고 있다. 충북 진천 농다리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명승지로, 늘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은 물론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도 선정될 만큼 빼어난 자연경관을 인정받고 있다.

주차장에서 바라 본 농다리와 주변 모습이다. 여름에 훼손되었다던 농다리는 다행히 보수를 해서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사람들이 안심하고 건너는 모습을 보니 정말 잘됐다는 생각이 든다.

천년의 세월을 버텨온 농다리가 앞으로 천년을 더 이어가길 바라는 마음이다. 농다리에 오면 으레 농다리를 건너서 갔는데 이번엔 경로를 바꿔봤다. 세심천을 따라 농다리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또 다른 징검다리가 있는데 그 다리로 건넜다.

위쪽의 징검다리에 서서 농다리를 보니 멋진 풍광을 볼 수 있다. 늘 바라보던 방향에서 시선만 바꿨을 뿐인데 아주 색다른 장면을 보게 된다. 농다리와 건너편 정자가 흰 눈에 덮여서 멋진 겨울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징검다리를 건너 농다리 쪽으로 향하는 길에 있는 데크

세심천 위에 S자로 구불구불 놓인 다리가 자연스러우면서도 아주 멋들어진다. 그 위를 정답게 걷는 부부의 모습에서 자연과 인간이 만들어내는 조화를 보는 듯 했다.

징검다리를 건너 농다리가 있는 방향을 향해서 걸었다. 반대방향으로 걸어가도 좋은 산책로가 될 것 같다. 데크가 놓여있긴 하지만 눈이 다 안 녹아서 매우 미끄럽다. 오르막이나 내리막은 특히 더 미끄러워 데크 옆에 설치된 밧줄을 잡고 걸어야한다.

농암정에서 내려다보이는 초평저수지

미처 아이젠을 준비하지 못해서 걷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잠깐은 괜찮다. 오히려 겨울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 좋다. 내친김에 농암정까지 올라가봤다. 높은 곳에 올라가니 아래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풍광을 볼 수 있어 좋다. 농암정에서 보는 사방의 풍경이 탄성이 나올 만큼 아름답다. 꽁꽁 얼어붙은 초평저수지도 한눈에 보인다. 맑은 물이 일렁일 때와는 완전 다른 모습이다. 산 위에 이렇게 넓고 아름다운 호수가 있을 거라 짐작이나 할 수 있을까. 조금만 발품을 팔면 생각도 못한 아름다움을 누릴 수 있다.

중부고속도로로 가면서 늘 보았던 생거진천이란 글씨 위의 정자에 올라와 있다니 감개무량이다. 세심천의 위아래에 놓인 두개의 다리도 한눈에 볼 수 있다.
농암정에서 내려와 농다리 쪽으로 걸었다. 구불구불 농다리는 역시나 멋있다. 한번 아팠던 자식이 더 귀하게 보이듯 유실됐다 보수의 과정을 거친 농다리가 더욱 귀하게 보인다. 긴 세월 건너서 지금까지 왔는데, 여기서 무너지면 안 되니 말이다.

우리 모두가 농다리를 잘 보호해야겠다. 농다리로 가기 전 농다리전시관이 있다. 전시관에 먼저 들러 가면 농다리를 놓는 방법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또한 농다리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전시관을 들러 가길 추천한다.

/충북도 SNS서포터즈 희유 (변은숙)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