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산업통상자원부의 심의 보류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길형 충주시장이 드림파크산업단지 내 LNG발전소 건설에 대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재확인했다.
주민들의 거센 반대 여론 속에서도 "충주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사업 포기 불가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조 시장은 28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충주의 미래 경제 및 산업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LNG발전소 건설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다.
조 시장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법을 근거로 들며 "그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하면 저렴하게 쓸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송전선로 등 여러 비용이 추가돼 전기 비용이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특히 "산업 비용 중 전기 요금이 30%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미래 첨단산업은 점점 더 전기를 많이 쓰는 쪽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전기 자립은 갖춰놓아야 한다"며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 충주의 전력 자립률은 32.4%로 전국 하위권에 머물러 있어 외부 전력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한국동서발전은 여수에 짓기로 한 500㎿급 LNG 발전설비 2기 중 1기를 충주 중앙탑면 하구암리 드림파크산단 18만1천818㎡ 부지에 건설할 계획이다.
총 투자 규모는 9천억여원에 달한다.
충주시는 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기업 투자유치 여건 개선 차원에서 발전소 건립이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 전기사업허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분산에너지법은 장거리 송전망에 기반한 중앙집중형 전력 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하는 지산지소형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조 시장은 주민들의 반대 여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환경영향평가나 향후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목소리를 왜곡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중앙탑과 서충주신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반대 세력은 추가 서명운동과 함께 전체 시민 대상 반대 여론 확산 의지를 보이고 있어 갈등은 지속될 전망이다.
산업부 전기위원회는 지난 23일 사업부지 구매 등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심의 보류'를 결정했다.
전기위는 △부지 확보의 불확실성 △배치계획의 구체성 부족 △주민 수용성 문제를 핵심 쟁점으로 지적했다.
다음 달 초 토지수용 절차가 완료되면 충주시와 동서발전은 전기위가 지적한 사항들을 보완해 재신청에 나설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심의 보류가 사업 자체의 타당성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 신호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충주 / 윤호노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