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청주시의회가 부동산 투기 의혹 관련 자체 전수조사 추진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최근 산업단지나 도시개발 예정지에 토지를 보유한 지방의원들이 거론되면서 압박 여론이 커진 데다 충북도의회가 선제적으로 전수조사 계획을 발표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9일 도의회와 옥천군의회는 토지거래 내역 전체 조사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앞서 진천군의회도 지난 24일 전수조사를 결정했다. 도내 곳곳에서 발본색원의 기류가 충분히 조성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도 청주시의회를 직접 겨냥하며 전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충북참여연대는 30일 성명을 통해 "충북도의회의 토지거래 내역 전수조사 결정을 환영한다"며 "이제는 청주시의회를 비롯한 10개 지방의회가 입장을 밝힐 때"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미 청주시의회 소속 시의원의 토지소유 과정 및 내역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며 "청주시의회도 전수조사를 통해 주민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 내부에선 의견이 갈리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 몇몇 의원의 실명이 거론되고 있는 만큼 자체적으로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A의원은 "시민들이 느낄 상실감과 의혹 해소를 위해선 의회 차원에서 하루빨리 분명한 입장을 내야 한다"고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자체조사의 효용성 등을 이유로 자발적인 조사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도의회를 비롯한 진천·옥천군의회가 투기 의혹 관련 전수조사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시의회의 입장 선회 가능성도 점쳐진다.
청주시에선 의회를 직접 감사할 권한은 없으나, 도의회처럼 조사 의뢰를 받을 경우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이다.
도의회의 경우 의장을 비롯해 31명 도의원 전원과 배우자, 직계존비속을 대상으로 자발적 전수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다양한 개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지방의원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조사 방법은 충북도가 발표한 공직자 조사 범위와 같다. 성역 없는 조사를 위해 도 감사관실에 의뢰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의원들의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를 제출받아 집행부 조사 부서에 전달하는 절차를 거쳐 본격 조사에 돌입한다.
최충진 청주시의장은 "여러 건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상황이어서 몇몇 의원에게 직접 확인을 했는데 전혀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면서 "다만, 전수조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만큼 의회 차원의 자체 조사 실시 여부를 의장단 회의(31일 예정)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유소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