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톤당 500~1천 원 시멘트세 즉각 도입하라"

시멘트세 도입과 대기오염 위험성 ①시멘트세 도입 쟁점은
세수 65%는 생산시설 있는 시·군에 배분
'지방세법·지방재정법' 동시에 개정해야
'쓰레기산' 스리슬쩍 처리 대기오염 심각

  • 웹출고시간2021.11.14 18:36:44
  • 최종수정2021.11.16 18:20:37

편집자

전국 4곳 광역지자체의 공통 현안이 있다. 충북도와 강원도, 전남도, 경북도 등이다. 이곳에는 시멘트 공장이 밀집돼 있다.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들은 분진·소음·악취 등으로 심각한 환경피해를 입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환경당국은 최근 전국 곳곳에 쌓인 '쓰레기 산' 처리를 시멘트 업계에 맡겼다. 그야말로 '첩첩산중(疊疊山中)'이다. 본보는 이에 따라 총 3회에 걸쳐 시멘트세 도입과 시멘트공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의 위험성을 집중 취재했다.
[충북일보] 시멘트 공장 주변 주민들의 건강상태가 위태롭다. 지난 2016년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시멘트 공장주변 1만952명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 933명, 진폐증 34명 등 총 967명의 피해가 확인됐다.

이어 지난 2020년 강원대병원은 시멘트공장 주변에서 장기간 노출된 주민들의 기관지변형 사례를 최초로 입증했다.

시멘트세 도입 문제는 19~21대 국회에서 잇따라 입법 발의됐다. 하지만, 19대 국회에서는 임기만료로 자동 폐기됐고, 20대 국회에서는 이철규(동해·삼척)·권석창(제천·단양) 의원도 발의했지만, 역시 임기만료로 폐기됐다.

21대 국회에서는 민주당 이개호(전남 장성) 의원이 지난해 10월 16일 발의했다. 현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20대 국회에서 법안을 발의했던 이철규 의원과 제천·단양을 지역구로 하는 엄태영 의원이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2월 25일 시멘트 회사들과 시멘트세가 아닌 기금조성을 협약했다.

국회는 현재 각 상임위 별로 예산 및 법안심사를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다음주 22일부터는 본격적인 법안심사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발맞춰 단양군의회는 지난 10일 지방세법과 지방재정법 등을 패키지로 처리할 것을 요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

현재 국회 행안위는 당초 각 지자체가 주장한 톤당 1천 원 대신 톤당 500원의 시멘트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지방세법 개정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멘트 업계의 부담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시멘트세의 65%를 생산시설이 있는 시·군에 배분하는 문제다. 즉, 피해지역 개발과 주민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지방재정법 개정안에 담아야 한다는 얘기다.

시멘트공장에서 발생한 각종 대기오염 물질은 열악한 기초자치단체의 소멸위기까지 초래하고 있다. 시멘트 공장이 들어선 1980년대와 2020년대의 인구변화 추이를 보면 강원도 영월군의 인구는 9만5506명에서 3만8662명으로 무려 59.5%가 줄었다.

또 충북 단양군은 7만2946명에서 2만9155명으로 60%인 4만3천791명으로 줄었고, 제천 역시 16만2천13명에서 13만3천18명으로 17.8%나 감소했다.

물론, 시멘트 공장 때문에 모든 인구가 줄어든 것은 아니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전국의 시멘트 업계들은 정치권과 주민들의 각종 요구에 '죽을 맛'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시멘트세 도입 못지않게 중요한 문제가 또 하나 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대기오염 물질을 어떻게 최소화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

정부는 코로나19 창궐이후 쓰레기 해양투기 및 해외수출길이 막히면서 발생한 전국 곳곳의 '쓰레기 산'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고민했다. 그러다가 스리슬쩍 '쓰레기 산' 처리를 시멘트공장에 맡겼다.

시멘트 회사들은 빠르게 '쓰레기 산' 문제를 해결했다. 다량의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됐지만, 정부 당국은 한 쪽 눈을 감았다. 이 문제는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거론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권영세(서울 용산) 의원은 당시 "시멘트 공장에서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동시에 폐기물을 연료 및 원료로 활용하고, 수입을 얻는 효과가 있는 듯 보이지만, 오염물질은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 우려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