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7.27 15:37:33
  • 최종수정2021.07.27 15:37:33

오정윤

청주시 청년정책담당관 주무관

얼마 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2주간 배달음식 먹었을 때 나오는 플라스틱'이란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작성자가 2주간 배달음식으로 식사를 해결했을 때 어느 정도의 쓰레기가 쌓이는지 보여주는 내용이었는데, 결과는 실로 충격적이었다. 게재된 사진 속에는 100여 개의 플라스틱 용기가 방안 가득 쌓여 있었다.

'우리 지금 이대로 괜찮을까?'라는 현타(현자타임)가 왔다. 실제로 환경부에서 발표한 지난해 공공선별시설에서 처리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923t으로 전년(776t) 대비 18.9% 증가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음식점 배달·포장이 증가한 것이 제일 큰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플라스틱 쓰레기의 공포가 썩지 않고 적재되는 배출량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썩지 않는 플라스틱은 자디잘게 부서진 '미세 플라스틱'으로 지구 환경을 위협한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 5㎜ 이하의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일컫는다. 눈으로 구별하기조차 힘든 미세 플라스틱은 생태계 곳곳은 물론이고 인간이 먹는 음식과 물에도 침투하고 있다. 2017년 환경부가 조사한 결과 수돗물 1ℓ당 평균 0.05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누구나 매일 조금씩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정확히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의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발표된 적은 없지만, 일부 학자들은 미세 플라스틱이 장폐색, 에너지 할당 감소, 성장장애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지 않는 것이다. 실제로 이를 목표로 정부와 기업들이 협업으로 플라스틱을 대체할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상용화되기까지 얼마 만의 시간이 필요한지 확신할 수 없다. 한마디로 마냥 과학의 발전을 기대하며 누군가 이 골치 아픈 문제를 대신 해결해 줄 거란 기대는 접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이제 믿을 수 있는 건 오직 우리 자신뿐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작은 실천을 통해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에 맞서 보는 건 어떨까?

첫 번째로 실천 가능한 것은 우리 생활에서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우선 점심시간에 불편하더라도 텀블러를 들고나가 일회용 용기 대신 텀블러 사용을 하고, 플라스틱 빨대 대신 스테인리스 빨대를 써보는 것이다. 또 음식을 주문할 때는 배달 대신 직접 다회용 용기를 들고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것도 환경을 지키는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쓰레기 분리배출이다. 이왕 나온 쓰레기라면 재활용이 쉽게 될 수 있도록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에 음식물이 남지 않도록 세척해 배출하고, 페트병을 버릴 때는 라벨을 떼어내고 부피를 줄여 분리배출하면 된다.

이런 작은 실천만으로도 급속히 증가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변화는 항상 어렵지만, 습관이 되고 일상이 되면 우리가 환경보호를 위해 무언가 실천하고 있다는 나름의 보람과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