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7.20 20:38:40
  • 최종수정2021.07.20 20:38:40
[충북일보] 기상청은 올 장마가 길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장마 체감 시간은 단 며칠뿐이었다. 도시는 이미 바싹 말랐다.·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범벅의 도시는 벌써 뜨겁다.·시시각각 기상이변의 가혹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전국의 폭염 지도가 붉게 물들고 있다. 충북도 예외가 아니다. 형벌 같던 2018년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충북지역에는 현재 폭염경보와 폭염주의보가 번갈아 발령되고 있다. 폭염과 열대야도 이어지고 있다. 폭염은 취약계층의 사고 위험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충북도와 각 시·군 등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 물론 충북도가 여름철 폭염 종합대책을 마련해 오는 9월 말까지 피해 방지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10개 반 38명으로 구성된 데스크포스(TF)를 운영해 폭염 대응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도심지 신호등, 교차로 그늘막 운영시설도 대폭 확대하고 있다. 폭염에 취약한 노령자 등 취약계층은 무더위쉼터(2천531곳)와 재난도우미(2만2천87명)를 활용해 중점 관리하고 있다. 마을 이장과 방문 건강관리 전문 인력, 독거노인 생활 관리사, 지역자율방재단원 등으로 구성된 재난도우미도 운영하고 있다. 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로 안전을 확인하는 등 모니터링을 맡고 있다.

충북지역 연평균기온은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73년 11.0도를 기록했다. 이후 1998년 12.3도로 처음 12도를 넘었다. 최근 5년 동안(2016~2020년)엔 3차례(2016년 12.5도, 2019년 12.5도, 2020년 12.2도)나 12도를 넘었다. 기온상승에 의한 기후변화는 이상기후를 부른다. 인류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지구온난화로 지구 평균온도가 상승하면서 해류의 흐름이 교란된다. 엘니뇨나 라니냐가 발생하거나 제트기류가 약화돼 강력한 한파가 온다. 충북을 비롯한 한반도는 지난 2018년 기후변화에 따른 역대급 폭염을 경험한 바 있다. 당시 충북의 폭염일수는 36.0일로 지난 1973년 기상관측 이래 가장 길었다. 온열질환자는 209명, 가축 폐사두수는 84만5천811마리에 달했다. 2018년 폭염의 원인은 대기정체로 인한 열돔 현상이었다. 지금도 충북지역 곳곳에선 폭염특보와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다. 실내 체감온도가 35도를 웃돈다. 기상청 예보대로 20일 장마가 끝났다.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고 있다. 온열질환자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신체 적응력이 낮은 노인은 온열질환에 특히 취약하다. 노인들에게 가장 좋은 온열질환 예방책은 무더위쉼터 운영이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코로나 방역에 치중하느라 아직 폭염 대비는 소홀하다. 코로나 상황이 악화되면 무더위쉼터 운영 중단 사례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무더위쉼터의 주 이용객인 65세 이상 노령층은 이미 코로나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그런 만큼 폭염이 심한 시간대에만 제한적으로 문을 여는 등 운영의 묘를 발휘해야 한다. 신체 적응력이 약한 고령층과 야외 작업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열사병과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유의하면서 물·그늘·휴식을 보장해야 한다.

코로나19가 폭염대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최근 확산한 4차 대유행으로 모든 여건이 좋지 않다. 지난해 10월부터 경로당 등 무더위쉼터가 문을 열곤 있다. 하지만 아직도 폐쇄된 곳이 많다. 폭염에 가장 걱정되는 건 온열질환 사고다. 물론 다수 지자체에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창문형 에어컨 둥 폭염대응 물품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역부족이다. 무엇보다 스스로 폭염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는 게 좋다. 폭염은 햇볕을 피하는 게 상책이다. 기온이 올라가는 시간 외출을 피하고 폭염대비 건강관리 수칙을 지켜야 한다. 지자체는 폭염 취약지역에 대한 예찰과 피해 예방 계도 활동을 계속해야 한다. 무더위 쉼터는 현재 시·군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개방 전 시설관리자 지정, 체온계·손소독제·출입자 관리대장 비치 등 사전 준비가 철저한지도 점검해야 한다. 다시 한 번 더 강조한다. 정부와 지자체의 제대로 된 폭염 대책이 절실하다. 기후 대책에 아울러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방문관리 등에 소홀하면 안 된다. 방역에 집중하다 노인, 특히 홀몸 노인, 영유아 등에 대한 돌봄 공백이 생기면 안 된다. 폭염은 이미 예고된 위협이다.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올 여름 더위가 2018년 수준에 이를 수도 있다. 폭염 재난 상황에 따른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