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마이너스 물가라는데… 식음료 가격 줄줄이 인상

배스킨라빈스 등 빙과업계 가격인상 단행
'원가 압박' 이유 과자·주류 등 전방위 확대
소비자 "비싸서 못 사" 통계물가 괴리 심화

  • 웹출고시간2019.09.23 21:42:08
  • 최종수정2019.09.23 22:11:41
[충북일보 유소라기자] 배스킨라빈스가 7년 만에 가격 인상을 단행하는 등 소비자들의 물가 체감도가 큰 식음료 제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모양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배스킨라빈스는 아이스크림과 아이스크림 음료 제품 18종의 가격을 평균 11.6% 인상키로 했다.

아이스크림 싱글 레귤러(115g)는 2천800원에서 3천200원으로, 파인트(320g)는 7천200원에서 8천200원으로 조정된다.

올 초 조미료값 인상으로 시작된 장바구니 물가 인상은 과자와 빵, 주류, 즉석밥, 두부, 아이스크림 등으로 전방위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이 "비싸서 못 사 먹겠다"고 할 정도로 체감 물가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거시경제지표인 통계물가는 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전국적으로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사상 첫 마이너스 곡선을 그린데다 충북지역 역시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8월 충북지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5(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 하락했다. 도내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보다 하락한 것은 지난 2015년(-0.2%) 이후 처음이다.

2015년 이후 연도별 8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전년 같은달대비 증감률을 보면 △2015년 100.16(-0.4%) △2016년 100.49(0.3%) △2017년 102.81(2.3%) △2018년 104.53(1.7%) △2019년 104.45(-0.1%)다.

이처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 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시민들이 직점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물가인식은 지난달 2.1%로 통계청이 집계한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률(0.0%)보다 2.1%p 높았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3년 이후 가장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물가 상승률과의 격차는 6년만에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거시경제 측면에선 마이너스 물가라고 호들갑을 떨지만, 정작 체감 물가는 오르고 있다는 게 소비자들의 목소리다.

롯데제과는 최근 모나카류 제품인 '본가찰옥수수'와 '찰떡아이스'의 편의점 가격을 기존 1천500원에서 1천800원으로 20%씩 인상했다. 두 제품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09년 1천200원에서 1천500원으로 조정된 뒤 10년 만이다.

원재료비와 인건비, 유통비 등이 누적되면서 원가 압박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주요 빙과 제조사들은 이미 올 상반기 적게는 12.1%에서 많게는 20%까지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지난 2월 CJ제일제당은 즉석밥과 어묵, 장류 등의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이어 4월에는 두부와 낫토 등 두부 품목 가격을 평균 9.4% 인상했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베이커리 업체들도 지난 3월 주요 품목 가격을 5~7% 올렸다.

주류업계도 맥주 '카스'와 소주 '참이슬' 등의 출고가격 인상에 나섰다. 출고가 인상을 기점으로 일부 업소에선 소주 판매가가 7천 원을 넘기도 했다.

업계는 원부자재비와 물류비 상승 등을 가격 인상 요인으로 꼽는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과 최저임금 상승 여파로 인건비 부담이 누적된 것도 가격인상 카드를 줄줄이 뽑아들고 있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지난해 고유가가 기저효과로 작용해 물가 상승률을 낮추고 있는 데다 농산물도 폭염 여파로 크게 상승했기 때문에 이달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하락이 예상된다"면서 "앞으로도 통계물가와 체감물가간 괴리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유소라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