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3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주입식 안보 교육의 한계…외면받는 현충시설

호국보훈의 달, 추모를 넘어 기억으로 ②묵념만 하는 현충시설
방문 어렵고, 역사 교육 힘들어… 도민 외면받는 현충시설
기념시설 급증했지만, 단순 추모시설 불과
도내 분포 현충 시설 97% 국가 수호 관련
소규모뿐이라 보훈 교육·체험은 불가능
"지역 정체성·접근성·교육성 가장 중요"

  • 웹출고시간2017.06.08 20:45:29
  • 최종수정2017.06.08 20:45:29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 만들어진 현충시설이 단순 추모시설에 그치고 있다. 충북지역에 건립된 144개의 현충시설 대부분 비석, 탑 형태의 소규모인데다 방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기념관마저도 1~2분이면 둘러볼 수 있어 제대로된 역사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6월6일 현충일 이시종 충북지사 등 기관단체장들이 청주시 사직동 현충탑에 묵념을 하는 모습.

ⓒ 충북일보DB
[충북일보] 애국은 강요할 수 없다. 국민 스스로가 느껴야 한다. 애국을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교육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마저도 주입식 교육으로는 어렵다는 것이 역사학자들의 중론이다.

그러나 국민에게 애국심을 심어주기 위해 설치된 현충 시설은 보여주기식·주입식 교육의 산실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충북의 경우도 1~2분이면 둘러볼 수 있는 시설뿐이라 단순 추모에 그치고 있다.

최근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은 주입식 안보 교육을 체험형 교육으로 개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동안 국가보훈처 등에서 주도했던 주입식 역사교육의 결과 중 하나가 현충 시설이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전국 각지에는 현충탑·기념비·전적비 등 수많은 현충 시설이 생겨났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건립됐는데, 전문가들은 진보와 보수세력 간 안보관 대립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동 노근리 양민 학살 등 민중적 사건에 대한 재해석을 위주로 했던 진보층에 대응하기 위해 보수층은 한국전쟁과 월남전쟁 등 국가 수호와 관련된 현충 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충북지역 현충시설 97%가 의병운동, 3·1운동·독립운동·한국전쟁과 관련된 시설이다.

현충 시설은 작은 규모로는 비(碑)의 형태로, 큰 규모로는 기념관 형태로 세워졌다.

전국적으로는 2천52개, 충북지역에는 144개의 현충 시설이 있다. 이중 1천41개가 비석이다.

대개 전쟁이 일어나거나 사건이 발생한 곳에 설치됐지만, 이를 찾는 방문객들의 발길은 뜸하다. 비석을 제외하고는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와 기억, 교육·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다. 생가나 동상, 사당 형태의 현충 시설도 마찬가지다.

역사적 사건이 발생했던 곳에 건립하는 특성 탓에 위치적 요건이 나쁘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방문하고 싶어도 방문이 어렵다는 얘기다.

충북지역은 체험형 역사교육이 가능한 기념관도 소규모 기념관뿐이다.

도내에서 규모가 제일 큰 기념관으로 알려진 손병희기념관은 사당과 생가만 넓을 뿐 기념관 자체는 1~2분이면 둘러볼 수 있다.

인근 충남 천안의 경우 아우내장터에서 발생한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독립기념관을 건립했다.

독립기념관은 모두 7개의 전시관과 추모공원, 수변공원, 야영장 등을 함께 운영해 시민들이 편하게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곳에 건립된 현충 시설로 지역 정체성·체험형 역사교육·추모·시민 휴식공간 등을 모두 적절하게 활용한 예다.

김양식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역사기념시설은 지역 정체성에 기반을 둔 기억과 기념의 목적으로 건립돼야 한다"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건이 발생지역이 아닌 곳에 만들어 대중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독립기념관이 가장 적절한 예"라고 말했다.

박걸순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도 "도내에 분포된 현충시설을 학교 현장교육과 어떻게 접목시킬 지가 중요하다"며 "현장체험을 통한 궁금증 유발이 올바른 역사교육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 강준식기자 good12003@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