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귀농·귀촌 1번지' 충북, 패러다임 변화

지난해까지 도내 귀농·귀촌 인구 6만명 이상
정착 실패 요인은 영농 준비 부족·원주민과 갈등
道, 상생TF 구성…현장중심 종합대책 마련

  • 웹출고시간2016.10.13 19:16:26
  • 최종수정2016.10.14 13:26:30

편집자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도시민들이 늘고 있다. 여유로운 삶을 기대하며 귀농·귀촌을 선택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귀농·귀촌의 준비 부족이나 원주민과의 갈등 탓에 다시 농촌을 떠나는 사례도 빈번하다. 지자체 차원의 지원은 농업 자금이나 기술 교육 수준에 그치고 있다. 원주민과의 실질적인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은 미흡하다. 이에 충북도는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전담반을 꾸려 보다 실질적인 현장중심의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충북일보] 충북은 귀농·귀촌의 1번지로 꼽힌다. 지난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충북에 둥지를 튼 도시민만 무려 6만1천명에 달한다. 귀농·귀촌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 원주민과의 갈등은 귀농·귀촌의 실패로 직결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귀농·귀촌 현주소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도내로 유입된 귀농·귀촌 인구만 6만1천374명(3만8천783가구)이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시기에 맞춰 귀농·귀촌 가구가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지난 2011년 이전까지 귀농·귀촌 가구가 2천397가구에 그친 반면 2012~2014년 3년 동안 귀농·귀촌한 가구는 1만4천592가구에 달한다.

특히 지난 2014년 1년 동안에만 모두 5천442가구가 귀농 혹은 귀촌했다. 이 중 귀촌가구는 4천238가구로 전국 귀촌가구(3만3천442가구)의 12.7%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1만149가구·30.3%)에 이어 전국 2위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에 따라 귀촌인 개념이 확대되면서 귀농·귀촌 인구수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 1년 귀농·귀촌인이 3만1천45명(2만1천794가구)으로 집계됐다. 전원생활 이외의 목적이라도 농촌으로 이주했다면 모두 귀농·귀촌 인구로 합산된 것인데, 당초의 개념을 적용하더라도 1만명 정도의 인구가 도내 농촌행을 선택했다는 게 지자체의 분석이다.

◇귀농·귀촌 성패, 원주민과 관계가 좌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도시민이 귀농·귀촌해 한 곳에 머문 기간은 평균 2.11년이다. 첫 적응에 실패에 다시 도시로 돌아오거나 다른 농촌으로 재이주하기까지 걸린 기간이 2년 남짓이란 얘기다.

이중 46.7%는 1년 안에 첫 거주지를 떠났던 것으로 조사됐다.

정착에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은 영농 준비부족과 농촌생활 부적응에 따른 갈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09년부터 귀농·귀촌자 종합대책을 추진,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농수산물 생산·가공·판매 지원 등 경제적인 지원에 치중했기 때문이다. 생활공동체의 가치나 인간적인 유대감과 관련한 프로그램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충북도의 경우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사업', '귀농인의 집 조성 사업', '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사업' 등 귀농·귀촌인에 대한 지원 시책이 상당하다.

인구늘리기 시책의 일환으로 귀농·귀촌 지원 사업에 투자했지만, 이런 각종 지원책에 대한 원주민의 상대적 박탈감이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귀농·귀촌 상생대책 추진단 출범

충북도가 '귀농·귀촌 1번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장기적인 플랜을 세우고 있다.

그 초석으로 '귀농·귀촌 상생대책 추진단'을 본격 출범시킨다.

추진단은 지난달 26일 이시종 지사의 지시로 구성되게 됐다. 당시 이 지사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의 마찰이나 소통 부족에 따른 부작용을 지적하며 종합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추진단은 농정국장 산하기구로 일단 올해 말까지 한시기구로 운영된다. 고행준 서울세종본부장이 단장을 맡고 농업정책과와 농업기술원 인력 각각 1명이 투입된다.

추진단은 농촌의 갈등 요인 및 유형을 분석, 귀농·귀촌 갈등 해소를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기능을 한다. 귀농·귀촌의 성공·실패 사례나 타 시·도 정책 등 실태조사를 현장 중심으로 진행한다.

이를 지원·자문할 현장 컨설팅단도 구성된다.

다양한 의견과 시책 발굴에 나설 '귀농·귀촌 상생 추진협의회'에는 충북연구원, 충북대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충북귀농·귀촌연합회, 이·통장협의회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각 시·군이나 농업기술센터 등을 통해 귀농·귀촌 관련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안정적인 정착과 갈등 해소를 위한 현실적인 시책이라고 보긴 어렵다"며 "귀농·귀촌인과 원주민들이 서로 융화돼 마을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데 방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