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智齒)

2025.04.10 14:12:23

김경순

교통대 커뮤니티센터 글쓰기 강사

꽤 여러해 전이었다. 충치를 확인하느라 엑스레이를 찍어 보니 아랫니 양끝으로 사랑니가 보였다. 의사는 사랑니가 누워있으니 뽑는 것이 좋다고 했다. 그때는 무슨 생각이었을까. 나는 사랑니도, 생겨 나왔을 때는 다 본분이 있을 것이니 뽑지 않겠다고 의사에게 단호하게 말했다. 의사는 큰 키에 몸도 말라 튼튼해 보이지는 않았는데, 손으로 내려오는 안경을 올릴 뿐 웃지도 않았고 고개만 끄덕였다. 딱히 불편하신 곳이 없으면 그래도 괜찮다는 말을 흐리고는 다른 환자들이 있는 치료실을 향해 몸을 돌렸다. 원래 성격이 그런 것인지, 아니면 궤변을 늘어놓는 환자를 상대하는 것이 시간 낭비라 생각 했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양쪽 잇몸과 볼 안쪽에 허옇게 염증이 자주 생겼다. 목이 붓고, 열도 났다. 충주에 있는 이비인후과를 들락날락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었는지 몇 년을 다녀도 병은 호전 되지 않았다. 마침 작년 가을, 아랫니에 씌운 보철이 떨어져 '푸른 치과'를 찾았다. 치료가 끝나고 별 기대 없이 양쪽 잇몸 염증에 대해 여쭤 봤다. 의사는 지그시 미소를 보이더니 기다렸다는 듯, 차분한 목소리로 사랑니 때문이라고 알려 주었다. 결국 사랑니를 빼기로 했다.

직업이 강의를 하는 사람이라 말을 많이 할 수 밖에 없다. 생각지도 못하게 사랑니를 빼고 난 후 이상하게 발음이 어색했다. 얼마나 당황이 되던지, 목에 힘을 주고 실수를 하지 않으려 신경을 곤두세웠다. 어깨도 아프고 가끔 다리에 경련도 왔다. 그러고 보면 없어도 되는 이(齒)가 아니었나 보다. 지인들과 차를 마시거나 모임이 있을 때도 신경 쓰였다. 그래서 일까. 입보다는 귀를 더 많이 열어 놓았다. 카페를 가거나 모임을 가면 서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느라 바쁜 세상이다. 어느 때는 실내가 왕왕대고 피곤이 몰려와 그곳을 피하고 싶어진다. 그럼에도 피할 수 없을 때는 혼자 상상 속으로 들어가 순간을 모면했다. 얼굴에는 미소를 띤 채, 절대 상대에게 들키지 않도록 말이다. 호젓한 시냇가 돌다리를 건너듯 천천히 세상을 구경하기도 하고, 책 한권 들고, 바닷가 휴양림을 걸으며 며칠짜리 음유시인이 되기도 한다.

이상한 일이다. 입 안이 헐렁해진 때문일까. 허전하기도 하고, 불안하다. 제일 깊은 안쪽, 누군가에게 단 한 번도 보여주지 않았던 은밀한 사랑니였다. 본적 없고, 보이지 않으니 세상 사람들은 그 사랑니가 없어도 된다고 했다. 영원을 꿈꿨을까, 아니면 세월의 자비심을 욕망했을까. 어쩌면 사랑니는 지지대가 되어 다른 치아들을 단단하게 세워 주었는지도 모른다. 사랑니 뺀 자리가 움푹 들어갔다. 두세 달쯤 후에는 뺀 자리에 살이 차오른다고는 했는데 정말 그럴까. 이 닦을 때, 밥 먹을 때, 말 할 때, 물 마실 때, 나도 모르게 손가락으로 더듬어 본다.

"있을 때는 관심도 없더니, 없어지니 소중하더냐?"

사랑니가 지하에서 호통을 치는 듯하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4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