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노인 치매 관리에 더 적극 나서라

2025.03.16 18:36:01

[충북일보] 국내 65살 이상 고령자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그렇다. 2023년 기준 고령자의 치매 유병률은 9.25%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다. 지난 2016년 역학조사 당시 치매 유병률 9.50%에 비해 0.25%p 감소했다. 반면 경도인지장애 유병률(22.25%)은 6.17%p 높아졌다. 진단자의 가파른 증가세가 눈에 띈다. 경도인지장애를 유의해서 봐야 하는 이유다.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과 언어능력 등이 저하됐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유지된다. 그래서 치매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가볍게 봐선 안 된다. 소홀한 관리가 이어지면 치매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매 유병률은 고령일수록, 도시보다 농어촌, 가족 동거가구보다 독거가구, 낮은 교육수준일수록 높다. 국내 노인 인구는 지난해 1천만 명을 넘어섰다. 충북도내에는 지난해 8월 기준 34만3천106명이다. 전체 인구 159만716명의 21.6%다.·치매 환자 증가 상황도 전국 추세와 비슷하다. 치매는 노인들이 암보다 더 무서워하는, 가장 두려워하는 병이다. 치매는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준다.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부담을 준다. 치매 환자는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렵다. 일반적인 질병 환자보다 돌봄 자체가 훨씬 어렵다. 그러다 보니 가족들의 부담이 적잖다. 치매 환자에 대한 돌봄이 오롯이 가족 몫인 경우가 많다. 실제 치매 환자 가족 상당수가 돌봄 부담을 느끼고 있다. 치매 환자로 인해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삶의 부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가족도 있다. 잦은 사례는 아니지만 심지어 '간병 살인'이 벌어지기도 했다. 치매간병의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는 사례다. 가장 큰 문제는 돌봄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이다. 개인이든 시설이든 마찬가지다. 간병비 부담부터 줄여야 한다. 치매 환자 돌봄을 개인이나 가족에만 맡겨놓을 순 없다.

충북도의회가 관심을 표명했다. 정책복지위원회 박지헌 의원(청주4)은 지난 12일 424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간병 부담을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했다. 이 자리에서 "도민들의 간병 부담 완화를 위해 선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상황에서 '간병살인, 간병파산, 간병지옥'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참혹한 현실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 달 간병비가 치료비보다 더 무거운 짐이 되고 있다"며 "정부가 시행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상도 도내에는 고작 1천295개뿐"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간병비 건강보험 급여 항목 포함 등 관련 법안 통과를 통한 간병비 국가책임제 실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를 위한 예산지원 확대 △요양병원 간병 지원사업 대상 범위 확대 등 대책을 촉구했다. 박 의원이 지적한 대로 긴 병에 효자 나기는 어렵다. 치매 환자 1인당 관리 비용은 의료비보다 돌봄비 비중이 높다. 치매 관리에서 무엇을 우선시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국가와 지자체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래야 치매 환자 가족들이 돌봄 부담의 수렁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충북도의 의료복지사업은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노인 치매 사업에서도 획기적인 정책이 나오길 기대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