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 대선공약은 후보자가 국민에게 하는 약속이자, 미리 보는 대한민국의 청사진이다. 국민은 대선공약을 보고 신뢰와 기대를 안고 투표할 것이고, 당선된 대통령이 공약을 어떻게 이행하는지 지켜보면서 평가도 할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의 책임 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충청북도가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에 대선공약으로 건의할 과제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건의 과제에는 충청북도의 중장기 발전전략뿐만 아니라 나아가 대한민국 전체의 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건의는 지역과 중앙정부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국가적 과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충청북도는 이번 건의에서 실질적인 사업을 중심으로 119개의 주요 현안 사업과 19개의 제도 개선 과제를 제시했다. 건의 과제에는 신성장산업 육성 기반 구축, 교통·물류 인프라 확충, 복지·문화 혜택의 보편화, 에너지 주권 시대 선도라는 네 가지 핵심 목표가 반영되어 있다. 이는 지역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데 있어 명확한 실행과 지속 가능한 제도 개선이라는 두 축을 모두 고려한 전략적 접근인 듯하다.
신성장산업 육성은 지역경제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것이다. 충청북도는 K-바이오 스퀘어 조기 완공, 시스템반도체 첨단 패키징 메가팩토리 구축 등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충청북도 한 지역의 성장에 머무르지 않고, 대한민국이 글로벌 산업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교통·물류 인프라 확충도 중요한 과제다. 내륙의 Missing Link 연계인 청주공항∼김천 간 철도 건설, 영동∼진천 간 고속도로 건설 등 광역교통망을 구축해 사통팔달 교통중심지를 구현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이는 충청북도를 넘어 전국의 경제 흐름을 원활히 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를 줄이고, 대한민국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복지·문화 혜택의 보편화 역시 주목할 만하다. 경제 성장이 이뤄지더라도 그 혜택이 특정 계층이나 지역에만 집중된다면 진정한 의미의 발전이라고 볼 수 없다. 모든 도민이 양질의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과제를 포함했다. 이는 지방 소멸 문제를 막고,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주권 시대의 선도는 국가 차원의 과제다. 충청북도는 청정수소 상용모빌리티 수소특화단지 지정, 탄소중립형 분산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중요 목표로 삼았다.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하는 대한민국이 반드시 나아가야 할 길이라 생각된다.
이번 건의는 지역 발전을 넘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자는 제안이다. 충청북도의 제안이 단순한 선거 공약용 약속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 향후 중앙정부가 출범한 뒤에도 이들 과제를 실천에 옮기고, 지역과 긴밀히 협력하여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했으면 한다.
1987년 직선제 이후 8차례 대선에서 충청북도에서 승리한 후보가 모두 대통령이 됐다. 그만큼 충청북도는 전국 민심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충청북도의 제안이 한 지역의 간절한 외침을 넘어, 대한민국이 함께 가야 할 길이라고 필자는 믿는다. 대선 후보자 역시 충청북도의 간절한 외침에 귀 기울여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