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수필과 함께하는 봄의 향연 - 최초의 책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

2020.04.02 16:09:30

강정은 말을 토해내는 시인이다. 그에게 몸은 폭발하는 화산이고 문장은 흐르는 용암과 같다. 몸의 견딜 수 없는 에너지가 폭발하여 튀어나온 말들의 잔해가 그의 시다. 그래서 불편하고 낯설다. 그의 시에는 문법의 혼돈, 불연속적인 삶의 파편들이 무질서하게 등장한다. 그는 삶의 불안과 공포를 정리하여 병렬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 상상, 꿈, 기억들을 질서정연하게 병렬하지 않는다. 그에게 삶은 완결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 그는 대다수가 생각하는 일반적 방향과 반대로 나아간다. 이 역류의 정신이 강정 특유의 모반의 시, 반역의 예술을 낳는다.

특히 강정의 초기 시는 록음악처럼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한다. 본능적으로 분출된 말들임에도 불구하고 정제된 관념과 철학적 사유가 스미어 있다. 이는 어지럽고 현란한 시의 외관과 달리 시의 내부에서 시인 스스로 말과 삶과 세계에 대해 염결하게 고투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 고투는 주로 삶과 사랑, 죽음과 연관된다. 강정의 시에서 매우 중요한 테마가 죽음이다. 그는 끈질기고 줄기차게 죽음에 집착하여 시의 화두로 삼아왔다. 자신의 핏줄 속에 숨은 바람을 뽑아 하늘로 되돌려 보내려는 듯 죽음을 보여주고, 주술에 걸린 자처럼 죽음을 살아내겠다고 고백한다. 그는 시를 '끝없이 변전하는, 죽은 자의 무덤의 단 한 차례의 묘비명'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그는 삶 속에서 수시로 죽음을 생각하고 죽음으로 인해 삶의 의미와 가치가 송두리째 지워지는 걸 두려워한다. 죽음에 대한 천착은 역설적으로 삶에 대한 집착과 애착 때문인 것이다.

강정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은 나르시스의 낭만적 죽음이 아니라 육체의 실체적 죽음이다. 삶을 살아내기 위하여 시인은 아이러니하게도 죽음이라는 극단적 대상을 택하는 것이다. "이상하다 정말 이상하다 수천 번 죽음을 노래했건만/내가 아직 살아 있는 게 이상하다"고 그는 고백한다. 이런 절망적 침잠은 초기 시부터 나타난다. 탐미적 언어로 죽음과 타락의 세계로 어둡게 침잠했던 첫 시집 『처형극장』(1996)을 시작으로, 광대무변한 우주에서 존재의 탄생과 죽음의 풍경을 즉물적 언어로 형상화한 시집 『들려주려니 말이라 했지만』(2005)을 거쳐, 적막한 카오스 언어로 인간과 삶의 슬픔을 사색한 시집 『활』(2011)을 지나, 최근에 상재한 시집 『그리고 나는 눈먼 자가 되었다』(2019)에 이르기까지 죽음은 반복적으로 변주되어 나타난다.

최초의 책 - 강정(1971~ )

희원일까 체념일까

책갈피 속에서 동그란 점이 하나 떨어졌다

지난밤에 올려다본 달일 수도 있다

부식토 냄새가 난다

한 개 점을 오래 들여다본다는 건

세계로부터 자신을 덜어내

다른 땅을 핥겠다는 소망

머리를 박고 울면서

점 안으로 자라 들어가는 고통의 뿌리로부터

아직 태어나지 않은

나무와 풀들의 수원(水源)을 찾는다

나는 머잖아 숲이 된다

나무들을 끌어안고

나무들의 무덤이 되어

다시 동그란 점이 된다

지구를 알약처럼 삼키고

손때 묻은 우주의 벌목 지대에서

천년을 잘못 읽히던 책 한 권,

비로소 제 뜻을 밝힌다

수의(壽衣) 벗듯 문자를 풀어헤쳐

돌의 이마 위에 투명하게 드러눕는다

나뭇잎 한 장이 전속력으로 한 생을 덮는다

나는 미래의 기억을 다 토했다

결국 강정에게 시는 죽음과 환생을 반복하는 신기루의 노래고 꿈이고 시공간이다. 한 순간도 변신을 멈추지 않는 몸이고 우주다. 그러기에 자아, 언어, 세계는 하나의 점으로 응집된다. 세계의 변혁은 곧 언어의 변혁이고 자아의 변혁인 것이다. 그러기에 부조리하고 불합리한 이 세계를 시인은 언어의 죽음, 자아의 죽음을 통해 접근한다. 강정에게 언어는 자아의 연인이자 동반자이면서도 살해자고 영원한 적이다. 그의 시가 세계에 대한 사랑과 증오를 동시에 드러내는 것은 이런 상반성 때문이다. 그에게 하늘과 땅, 천국과 지옥은 하나의 쌍둥이 육체다.

「최초의 책」은 시집 『귀신』(2014)의 맨 끝에 수록된 작품이다. 흙과 빛은 고향을 대리하는 전통적 이미지들이다. 많은 선배 시인들이 대지와 빛을 통해 고향의 공간을 그렸고 이를 통해 삶을 회상하고 반성했다. 강정 또한 이 지점으로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몸의 안식과 치유를 위한 물리적 회귀가 아니라 생의 근원을 되묻는 철학적 회귀라는 점이 다르다. 책갈피에서 떨어진 점 하나에서 달을 떠올리고 부식토 냄새를 맡고, 숲과 죽음과 우주를 상상하는 행위는 모두 모성과 연계된다. 생의 근원, 생명과 존재의 출발에 대한 시인의 존재론적 물음은 곧 자연과 우주에 대한 대승적 포용이다. 강정의 시는 이제 사랑의 샘, 최초의 시간의 우물을 찾아 떠나는 눈먼 자의 아픈 여정(旅程)이다.

/ 함기석 시인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