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수(왼쪽) 충북도립대 총장과 김영환 충북지사.
ⓒ충북도
[충북일보] 속보=김용수 충북도립대 총장이 '호화 연수'를 위해 교비를 유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직위 해제됐으나 그 파문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3일자 1면>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채 김영환 지사의 '친분 인사'로 인한 참사가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잇따른 인사 실패로 도정에 대한 도민 신뢰가 떨어지고 불신이 커지면서 인사권자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25일 충북도에 따르면 김 총장 관련 비위 혐의가 엄중하다고 보고 김 지사의 특별지시에 따라 직위 해제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또 철저한 조사를 바탕으로 징계 절차 등 엄중 조치하는 한편 이방무 도 기획조정실장을 총장 직무대리로 지정했다.
김 총장은 지난 2월 김 지사의 조카인 A 교수 등 교수 3명과 제주 연수를 다녀오면서 사적으로 배우자를 동행하고, 인원수를 부풀려 5천만 원을 지출하는 방식으로 교비를 유용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이 5성급 호텔에 묵는 등 1인당 1천만 원을 사용했으나 대학 측은 이 연수에 10여 명이 참여한 것처럼 서류를 꾸민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김 총장은 임명 전부터 외부 측근 챙기기라는 비판이 나왔던 인물이다. 그는 2022년 11월 김 지사의 천거로 총장 공모에 응모했으나 총장추천위원회 1차 심사에서 탈락했다.
이후 재공모를 통해 1순위 후보자로 추천돼 뒷말이 무성했다. 하지만 '코드 인사' 논란에도 김 지사는 "대학 혁신의 적임자"라며 임명을 강행했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검증 없이 이뤄진 인사가 결국 참사를 불러온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충북도의 인사 참사가 이번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크고 작은 참사가 수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불과 열흘 전에는 신규식 충북테크노파크(TP) 원장 후보자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이 불거져 자진 사퇴하기도 했다.
지역 방송사 사장 출신인 신 후보자는 충북도의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방송사 재직 시절 A기업과 자문역 계약을 맺고 매달 200만 원씩 총 1억3천200만 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또 최근 알선수재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윤석규 전 충북인재평생교육원장은 재임 때 기소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도가 사직서를 받는 등 물의를 빚기도 했다.
허은영 전 충북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예비비 3천만 원을 일회성 문화행사에 지원했다가 논란이 불거졌다.
임용 4개월 만에 총선에 출마한 김학도 전 경제수석보좌관은 중도 사퇴하면서 무성한 뒷말을 낳기도 했다.
인사 참사는 이뿐만이 아니다. 범위를 확대해 정무직 인사까지 포함하면 김 지사가 취임하기 이전부터 임용 과정에서 자진 사퇴하거나 내정을 철회한 사례도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최근의 사태는 충북의 인사 참사이자 인사 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인사권자의 의중이 크게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충북도는 인사 참사를 막기 위해 기준을 다시 점검하고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천영준기자